이동필 장관 “농식품수출 100억달러 목표”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주재한 농업분야 토론회에서,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고부가 식품산업 육성을 통해 2017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달러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19일 경기도 안성팜랜드에서 열린 ‘농업 미래성장산업 대토론회’에서 ‘농업의 미래성장 산업화 추진방안’이라는 정책발표를 통해 “중국의 알리바바 등 온라인쇼핑몰과 대기업 유통망, 프랜차이즈를 활용해 가공식품 수출을 늘리고, 전북 익산에 조성중인 국가식품클러스터를 고부가 농식품 수출단지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안성팜랜드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60년대 당시 서독 방문 뒤 독일 차관으로 만든 ‘한독낙농시범목장’의 후신이다.
이 장관은 “식품제조업체의 국산원료 사용 비율을 올해 29.7%에서 2017년 34.7%로 높이고, 즉석식품과 저나트륨식품 등 미래 시장을 주도할 10대 전략품목을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종자·농기계·동물의약품 산업을 수출전략산업으로 육성해 2017년까지 24억달러 수출을 달성하겠다”고 했다. 그는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으로 피해가 예상되는 밭 농업분야 대책으로 밭작물 주산지 중심으로 공동경영체를 키울 것이며,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시설원예·축산분야의 현대화를 이룰 것”이라고 했다.
이 장관은 “농업분야 정예인력 육성을 위해 ‘농고→한국농수산대학→농과대학’을 축으로 선진국 수준의 직업교육체계를 확립하고, 정보통신기술 기능 현장 활용도 제고를 위해 가칭 ‘토마토대학’ 등 첨단기술 교육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농업의 미래 성장 산업화는 개방 파고를 극복하기 위한 시대적 과제다. 자유무역협정 체제에 완전히 편입되는 것은 절체절명의 위기이자 미래로 도약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한-중 자유무역협정과 관련해 농업인 여러분과 긴밀히 소통하면서 농업분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오래전부터 ‘농업은 미래성장산업’이라고 확신해왔고, 농업·농촌을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 우리 모두에게 인식의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며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기술과 창의적인 아이디어이고,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해 농업과 농촌을 스마트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우리 농업도 자신감을 갖고 중국, 동남아 등 해외 유망시장을 적극 공략해야 한다”고 했다.
김경무 선임기자 kkm100@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