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입사 지원자를 대상으로 한 직무적성검사(SSAT)가 치러진 12일 오전 서울 강남구 대치동 단국사대부고에서 시험을 마친 응시생들이 고사장을 나서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하반기 공채 82개 고사장서 치러
역사문제 비중 대폭 확대
기출문제와 달라 수험생들 당황도
채용제도 대대적 개편 예고 관련
삼성 “일러야 내년 하반기 적용”
역사문제 비중 대폭 확대
기출문제와 달라 수험생들 당황도
채용제도 대대적 개편 예고 관련
삼성 “일러야 내년 하반기 적용”
‘다음중 예시문(3·1운동의 상황 설명)에 나온 사건 이후 벌어진 상황을 잘못 설명한 것은?’
‘갑신정변을 주도한 개화파와 갑오개혁을 주도한 김홍집 등 온건개화파 세력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12일 서울 등 전국 5개 지역과 미국 등 해외 3개 지역 82개 고사장에서 일제히 치러진 삼성직무적성검사(SSAT)에 출제된 문제 중 일부다. 삼성 쪽이 정확한 숫자를 공개하지 않았으나 이번 하반기 공채에도 10만여명이 지원해 실제 9만명 정도가 시험에 응시하는 등 ‘삼성고시’를 방불케하는 상황이 재연됐다. 이에 따라 ‘인성을 갖춘 창의적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채용 제도 개편을 준비하고 있는 삼성의 고민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삼성직무적성검사는 삼성의 공채 신입사원(3급)을 선발하는 첫 관문이다. 삼성은 직무적성검사에서 최종 채용 인원의 2~3배수를 뽑아 면접을 거쳐 올해 하반기 4000∼5000명의 대졸 신입사원을 뽑는다는 계획이다. 응시자들은 위에 언급된 질문들처럼 특정 시대와 관련된 유물이나 인물을 조합하는 역사 문제의 비중이 대폭 확대되고, ‘갤럭시 노트 4’와‘갤럭시 노트 엣지’ 등 삼성의 모바일 기술과 관련된 문제도 나오는 등 이날 시험이 전반적으로 어려웠다는 평가를 내놨다. 서울 대치동 단국대부속고등학교에서 시험을 보고 나온 권기환(27)씨는 “역사 문제의 경우 단순히 역사적 사실 하나만을 묻는 게 아니라 맥락을 묻는 질문들이 많았고, 시각적 사고 영역의 경우 기출 문제집에 나왔던 내용과 크게 달라 처음엔 많이 당황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직무적성검사는 삼성이 대대적 채용제도 개편을 예고하고 있는 가운데 치러진 것이라 응시자들의 관심이 고조됐다. 이준 삼성그룹 커뮤니케이션 팀장은 최근 “다양한 채용제도 개선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정형화된 인력만 양산하는 필기 시험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는 얘기가 나온 데 따른 것”이라는 게 회사 쪽 설명이었다.
삼성은 1995년부터 일정 수준의 어학 성적과 학점을 갖춘 지원자는 아무런 제한 조건 없이 누구나 삼성직무적성검사를 볼 수 있는 ‘열린 채용’ 시스템을 시행해왔다. 삼성이 이런 열린 채용제도에 문제 의식을 갖게 된 것은 지난해 10월께부터다. 당시 이인용 당시 삼성그룹 커뮤니케이션팀장은 “삼성에 관한 취업준비생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이 많아져 채용 방식에 변화를 줘야 한다는 의견이 그룹 내부에서 나왔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취업난 속에 해마다 20만명 이상의 구직자가 삼성의 직무적성시험에 응시하면서, 취업시장에 삼성직무적성검사에 대비한 사설학원 강좌와 관련 서적들이 봇물을 이루는 등 ‘취업 사교육’ 비용이 커지고 있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삼성 처지에서는 매년 시험 장소 섭외와 관리감독 인력 투입에 쏟아붓는 비용(연간 100억원 추산)도 부담이었다.
삼성 쪽에서는 개편방향이 결정돼도 도입 시기는 내년 하반기 이후가 될 것이라고 예고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삼성의 채용제도가 직무적성검사 비중을 줄이는 대신 서류전형을 부활하는 한편, 에세이 작성을 새로 포함시키고, 면접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편될 것이라는 말부터, 완전히 새로운 내용이 될 것이라는 얘기까지 돌고 있다. 다만 확실한 것은 어떤 방식으로 채용제도를 개편하든 ‘사회적 공감’을 얻는 데 중점을 둘 것이라는 말이 나온다. 올해 1월 대학별 총장추천제·서류 전형 도입 등을 담은 채용제도 개선안을 내놨다가 ‘대학 서열화’ 논란에 휘말려 보름 만에 백지화한 바 있기 때문이다.
이정애 기자 hongby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