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1m 크기 토종배추, 2년 뒤엔 일반보급

등록 2014-09-14 21:05수정 2014-09-23 22:58

토종배추는 개량종에 비해 길이가 서너배쯤 긴 것이 특징이다. 사진은 전남 담양에서 토종배추 종자의 맥을 잇고 있는 향토사학자 이동호씨가 지난해 가을 텃밭에서 수확한 토종배추로 손수 김장을 하고 있는 모습. 이동호씨 제공
토종배추는 개량종에 비해 길이가 서너배쯤 긴 것이 특징이다. 사진은 전남 담양에서 토종배추 종자의 맥을 잇고 있는 향토사학자 이동호씨가 지난해 가을 텃밭에서 수확한 토종배추로 손수 김장을 하고 있는 모습. 이동호씨 제공
최대 1m까지 자라고 수분이 적어 저장성이 강한 토종배추(▷ 대대로 지켜온 1m넘는 토종배추 맛 보실래요?)가 2~3년 안에 일반에 대량 보급될 수 있을 전망이다.

전남 담양군에 거주하면서 토종배추 종자를 보존하고 있는 향토사학자 이동호(52)씨는 14일 <한겨레>와의 전화통화에서 “전남농업기술원 쪽과 토종배추 종자 보급에 관해 최근 협의한 끝에 그쪽에서 1년 동안 시험재배하기로 결정했다. 이르면 2년 뒤 토종배추를 보급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이씨는 “이미 토종배추와 무 종자를 전남농업기술원에 넘겼다”고 덧붙였다.

전남농업기술원의 윤봉기 원예연구소 소장은 “우리 기술원에서 2011년부터 토종자원을 수집해 연구중이며 지금까지 48개 작목의 267개 품종을 수집했다”며 “이동호씨의 토종배추와 무 종자를 파종해 1년 동안 시험재배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것이 과연 토종 가치가 있는 것인지, 지금 재배종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볼 것이며, 새로운 품종화가 가능하면 국립종자원에 품종 등록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내년에 또 파종해보고 금년에 나온 특성이 지속되는지를 조사해봐야 한다. 품종으로 등록해 일반에 보급하려면 2년 내지 최대 3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씨는 지난 5월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이 ‘토종배추 종자 지킴이’이라며 담양군 수북면 자택의 50평 남짓한 텃밭에서 한해 200포기 정도 토종배추 농사를 짓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자신이 보존하고 있는 토종배추에 대해 “현재 일반인들이 먹고 있는 일반 개량종 배추에 비해 키가 2.5~3배는 크다. 수분 함량도 적어 저장성이 매우 강하다. 김치를 담가서 3년까지 먹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병충해와 기후변화에도 강해 농약이나 비료 없이 자연재배가 가능하다. 섬유질이 많아 뻣뻣하지만 아삭아삭 씹히는 식감이 좋고, 씹을수록 맛이 난다”고도 했다. 이씨는 “지금 우리가 담가 먹는 배추김치는 다 개량종이다. 1950년대 우장춘 박사에 의해 들여온 것이 현재에 이른 것이다”고 말했다.

김경무 선임기자 kkm100@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관세’ 다음 타깃은 자동차·반도체…수출기업 비상 1.

‘트럼프 관세’ 다음 타깃은 자동차·반도체…수출기업 비상

‘3조원 비과세 배당’ 우리금융 주가 급등…감액 배당이 뭐죠? 2.

‘3조원 비과세 배당’ 우리금융 주가 급등…감액 배당이 뭐죠?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3.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금값 급등에 수급 차질…조폐공사, 골드바 판매 중단 4.

금값 급등에 수급 차질…조폐공사, 골드바 판매 중단

제천시청, 구내식당 영업제한…“폐업만은 막자” 5.

제천시청, 구내식당 영업제한…“폐업만은 막자”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