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수산물 이력제 활성화 나서
아침 밥상에 올라온 맛깔스러운 고등어자반. “도대체 이놈은 어느 해역에서 누가 잡은 것일까, 혹시 일본산?” 소비자들은 궁금하지만 알 수가 없었다. 2008년부터 정부가 ‘수산물 이력 표시제’를 본격 시행했지만 업계 자율에 맡긴 탓에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참여율이 7.6%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해양수산부가 이력제 활성화를 위해 나섰다.
1일 오전 서울 성수동 이마트 본점. 손재학 해양수산부 차관은 고등어·넙치(광어) 등 이력제 표시 수산물 시식 행사에 참여해 “우리 앞바다에서 잡히는 수산물이므로 안심하고 드셔도 됩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일본산 수산물, 특히 고등어에 대한 방사능 오염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들이 즐겨 찾는 대형마트에서 이력제 실시 유도 행사를 연 것이다. 이 제도는 생산·유통·판매 단계별로 수산물 이력에 관한 정보를 전산으로 입력해 최종 소비자가 확인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수산물 이력 누리집(www.fishtrac.go.kr)과 모바일 웹(m.fishtrace.go.kr)에서 이력 번호를 입력하거나, 스마트폰 앱·단말기 등으로 바코드를 스캔 인식하는 방법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자동응답전화(ARS·080-788-2626)로도 확인할 수 있다.
정부가 이번에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이력 표시제를 집중 관리하기로 한 품목은 고등어, 갈치, 명태, 조기, 넙치, 전복, 뱀장어 등 한국인이 즐겨 먹는 수산물 7가지다. 이 중 고등어, 갈치, 명태는 일본산과 중복되는 품목이다. 정부는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이력제를 생산·가공·유통 등 전 단계에서 이뤄지게 할 방침이다. 서로 연계되지 않으면 효과가 없기 때문이다. 생산 단계에서는 어업인을 대신해 수협에 인력을 배치해 이력을 관리하도록 했다. 가공 및 유통 단계에서는 이력 표시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기로 했다. 즉 가공·유통 과정을 전산 시스템에 등록해 제품에 표시할 경우 경비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판매 단계에서는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이력 표시 수산물을 우선적으로 취급하도록 유도할 예정이다.
정착까지는 갈 길이 멀다. 업계의 적극 참여 여부에 성패가 달렸다고 할 수 있다. 김종모 해양수산부 어촌양식정책과 사무관은 “2013년까지는 이력제 참여율이 너무 저조했다. 이유는 생산 등 단계별로 앞뒤로 연결이 안 됐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대형 유통마트를 중심으로 시행을 적극 유도한 뒤 재래시장 등으로 확산시킬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경무 선임기자 kkm100@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