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노조 등 ‘참여형 공모’ 촉구
이사회, 이석채회장 사표 수리
이사회, 이석채회장 사표 수리
케이티(KT)는 12일 긴급 이사회를 열어 이석채 회장의 사표를 수리하고, 다음 회장 선출 때까지 표현명 사장(텔레콤&컨버전스 부문장)을 직무대행으로 하는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하기로 결정했다. 케이티(KT) 새 노조를 비롯한 계열사 노조 대표들과 시민사회단체는 기자회견을 열고 “후임 최고경영자(CEO) 선출은 낙하산 인사 논란을 끓을 수 있는 참여형 공모를 거쳐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회장은 이날 서울 서초구 사옥에서 열린 긴급 이사회에 참석해 사표를 제출했고, 이사회는 이를 즉시 수리했다. 이사회는 “산적한 경영 현안 처리 필요성 및 수사가 진행 중인 상황임을 고려해, 사임 의사를 수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퇴임 소감을 밝힌 뒤 1시간도 되지 않아 자리를 떴다. 2009년 이명박 정부 시절 케이티 최고경영자에 오르면서 청와대 낙하산 인사 논란을 사왔던 그는 검찰 수사를 받던 지난 3일 자진 사퇴 의사를 밝혔다.
이사회는 정관에 따라 다음 주 초 이사회를 열어 최고경영자(CEO) 추천위원회를 구성한 뒤 후임 회장 후보를 추천하는 절차에 착수할 예정이다. 추천위원회는 사외이사 7명 전원과 사내이사 1명으로 구성된다. 후임 최고경영자가 결정될 때까지는 표현명 사장이 직무대행으로 경영을 이끌게 된다. 그는 이 회장의 경복고 후배로, 측근으로 꼽힌다.
앞서 이 회장의 배임 혐의에 대한 검찰 고발을 주도했던 참여연대를 비롯한 시민단체와 케이티 계열사 노조 대표들은 이날 회견을 열어 “케이티가 이 지경이 된 데는 이 회장이 가장 큰 책임이 있지만 견제하지 못한 채 거수기 노릇만 한 이사회의 책임도 크다”며, 현 이사회의 후임 회장 선출 자격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해관 케이티 새노조 위원장은 “케이티는 민영회사이지만 국민 경제에 끼치는 영향이 큰 통신사업자이다. 노동자, 소비자 등의 의견을 숙고해 후보를 추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정치적 연줄과 무관한 인사, 통신 전문가, 떨어진 노동인권 상황을 혁신할 인물 등을 후임 최고경영자의 요건으로 꼽았다. 이들은 이런 뜻을 이사회에 전하고 추천위원회와 면담을 요청할 계획이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