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기업들, 경영안정자금 등 호소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15일 공단 가동의 첫 단추를 끼우기 위한 설비 점검팀의 빠른 방북을 남북에 요청했다. 정상화 합의에도 불구하고, 실제 가동 정상화까지는 갈길이 멀다는 게 기업들의 입장이다.
‘개성공단 정상화 촉구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이날 성명을 내고 “개성공단의 빠른 정상화를 위해서는 선가동이 시급하다. 즉시 가동을 위한 ‘재가동 준비팀’의 출입 및 체류 허가를 요청한다”고 밝혔다. 4개월이 넘는 시간 동안 공장이 멈춘데다 장마철 습기 등으로 인해 설비 훼손이 심각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다가오는 태풍 등으로 점검이 늦어지면 추가적인 훼손도 우려된다.
비대위 유창근 대변인은 또 “조업중단으로 인해 입주기업들은 경영 상에 심각한 고통을 받고 있다. 정상화를 위해 정부에 특별경영안정자금 지원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기업들은 남북의 정상화 합의와 별개로, 실제 정상화까지 필요한 운영자금 마련을 위해 경협 보험금 수령을 위한 준비서류 마련 등도 계속 진행하고 있다.
기업들은 지루한 협상 끝에 이룬 양국 정부의 합의에 일단 안도 하면서도 구체적인 시간표가 전혀 마련되지 않아 가동 재개를 위한 작업에는 섣불리 나서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문창섭 비대위 공동위원장은 “기업별로 장비 훼손 정도와 재개를 위한 필요 작업들이 제각각이다. 하루빨리 현지 상황을 확인해서 각 기업들이 계획을 세울 수 있게 해줘야 한다. 공단 정상화와 기업 정상화는 별개 문제다”라고 말했다.
비대위는 향후 통행, 통신, 통관 등을 비롯한 실무적 문제들을 논의하기 위해 남북 양쪽이 꾸리기로 합의한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에 투자기업들도 참여하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짝퉁’ 종결자!… ‘개’를 ‘사자’라고 속여 전시한 중국 동물원
■ 박 대통령 8·15 경축사에 ‘위안부’는 없었다
■ 2013년 여름은 ‘날씨 기록제조기’
■ [화보] 나 혼자 ‘같이 사는 집’ 구경하세요
■ [화보] 5월 광주처럼…이집트 시위대 유혈진압
■ ‘짝퉁’ 종결자!… ‘개’를 ‘사자’라고 속여 전시한 중국 동물원
■ 박 대통령 8·15 경축사에 ‘위안부’는 없었다
■ 2013년 여름은 ‘날씨 기록제조기’
■ [화보] 나 혼자 ‘같이 사는 집’ 구경하세요
■ [화보] 5월 광주처럼…이집트 시위대 유혈진압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