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 벤처인이 유망 창업팀 발굴
정부가 공동으로 투자 참여 방식
30억 규모 5~10개 운영기관 모집
정부가 공동으로 투자 참여 방식
30억 규모 5~10개 운영기관 모집
정부가 ‘창조경제’ 구현의 국정과제로 제시한 이스라엘식 창업 프로그램이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
중소기업청은 성공 벤처인이 유망 창업팀을 발굴하면 정부가 공동으로 투자에 참여하는 ‘글로벌시장형 창업 연구개발(R&D) 사업’의 계획을 확정하고 운영기관 모집에 나선다고 19일 밝혔다. 운영기관은 예전 벤처성공 경험이 있는 이들을 중심으로 하는 초기전문 벤처캐피탈로, 창업팀을 보육하기 위한 시설을 갖춰야 한다. 대학 등과 컨소시엄 형태도 가능하다.
선정된 운영기관이 투자 창업팀을 1.2배수 뽑으면 정부가 최종 선정해 육성에 들어간다. 양봉환 중기청 생산기술국장은 “초기 자본 없이도 창업이 가능한 점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창업팀의 제안서가 채택되면, 운영기관은 선정된 창업팀에 대해 1억원(15%이상)가량을 투자하고, 정부가 나머지 85%(5억원)를 연구개발비로 지원한다. 운영기관은 대신 투자 대비 2배의 지분(40% 이내)을 보유할 수 있다. 정부는 창업에 성공했을 경우에만 지원금의 10%를 기술료로 상환 받을 뿐, 경영권(60% 이상 지분)은 창업팀에게 보장한다. 양 국장은 “벤처캐피탈은 적은 투자로 높은 지분을 얻어 다양한 벤처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고, 창업팀은 연구에 매진할 수 있어 기술창업을 크게 촉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이스라엘의 ‘티아이(Technical Incubator) 프로그램’을 본뜬 사업이다. 이스라엘 정부는 1991년 구 소련의 붕괴 때 유대계 고급 기술인력 유입을 유도하고자 이런 프로그램을 도입했고, 지금까지 총 6억달러를 투입해 1200개 벤처 창업을 일궜다. 중기청은 “창업 기업의 성공률도 50%로, 이스라엘을 벤처강국으로 성장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스라엘 방식은 벤처 성공 뒤 외국자본에 매각하는 것을 주로 목표로 해, 국내 모델로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중기청은 올해 시범 사업으로 5~10개 운영기관, 30억원 규모로 운영하고, 2018년까지 1000억원 규모로 점차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국가보훈처가 ‘임을 위한…’ 제창 한사코 막은 이유가…
■ 5개 키워드로 본 5·18 광주항쟁의 진실
■ 신아람 ‘런던올림픽 악연’ 하이데만 꺾고 월드컵 우승
■ 쾌락과 윤리, 이분법 대신 동행시켜라
■ "나는 처녀가 아니다. 여성 청소년에게 순결을 강요말라"
■ 국가보훈처가 ‘임을 위한…’ 제창 한사코 막은 이유가…
■ 5개 키워드로 본 5·18 광주항쟁의 진실
■ 신아람 ‘런던올림픽 악연’ 하이데만 꺾고 월드컵 우승
■ 쾌락과 윤리, 이분법 대신 동행시켜라
■ "나는 처녀가 아니다. 여성 청소년에게 순결을 강요말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