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긴급 간담회가 23일 오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려 참석한 개성공단 입주 기업인들이 심각한 표정으로 간담회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중대조치’ 발표에 당황
공단기업협회 등 긴급회의
“당국자 아무 얘기도 안해줘
보장받은 권리 끝까지 지킬것”
공단기업협회 등 긴급회의
“당국자 아무 얘기도 안해줘
보장받은 권리 끝까지 지킬것”
개성공업지구 입주 기업들은 정부의 ‘실무회담 거부 시 중대 조치’라는 발표가 나온 25일 즉각 남과 북 측에 “실무회담의 조속한 이행”을 촉구하며, 개성공단 사수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우리 정부가 말한 ‘중대 조치’를 두고는, 개성공단 폐쇄라는 최악의 상황까지 염두에 두며 바짝 긴장한 모습을 감추지 못했다.
한재권 개성공단기업협회 회장은 “중대 조치라는 것이 무엇인지 정부로부터 어떤 이야기도 듣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방송에서는 ‘철수 쪽으로 가닥이 잡히는 것 아니냐’는 전문가 인터뷰마저 나오고 있는데, 답답한 노릇”이라고 말했다.
이날 협회 회장단과 입주 기업 대표 등은 아침부터 서울 중구 무교동 협회 사무실에 모여 상황 파악과 향후 대응을 위한 긴급회의를 이어갔다. 협회는 앞서 지난 23일 100여개 회원사 대표 등이 모인 ‘긴급 회의’를 열고 공단에 현재 체류하고 있는 주재원 대신 기업의 대표가 체류할 수 있도록 즉각 통행을 승인해 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한 회장은 “체류 인원들은 북으로부터 아무 이야기도 듣지 못한 상황에서 남쪽의 ‘중대 조치’ 발표가 나와 크게 당황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현재 개성공단에는 170여명의 남쪽 인원들이 체류하고 있다.
개성공단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 달라’ 요청을 정부가 사실상 받아들이지 않고, 대신 ‘중대 조치’를 꺼내든 점도 기업인들을 동요하게 만들고 있는 요인 가운데 하나다. 경실련 통일협회는 “정부는 개성공단 잠정 중단에 대한 피해대책으로 각종 지원책을 내놓았지만, 입주기업의 빚을 증가시키는 임시방편일 뿐 피해 보상을 위한 특별재난지역 선포는 사실상 거부했다. 이런 상황에서 폐쇄라는 극단적 방법으로 상황을 전개시키는 것 아닌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개성공단기업협회는 이날 정부 발표 뒤 보도자료를 내 “개성공단 기업인들은 남과 북이 50년간 합의한 투자보장이 확고하게 지켜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동시에 남한 정부가 제안한 “실무회담의 조속한 이행”을 촉구하는 한편, “남북 정부로부터 보장받은 권리를 포기하지 않고 확고히 지키겠다”고 밝혔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