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대형마트 의무휴업제 유지·강화해야” 86%

등록 2013-04-21 16:49수정 2013-04-21 21:02

판매품목 제한엔 반대가 더 많아
전통시장과 골목 슈퍼마켓 보호를 취지로 도입된 대형마트 의무휴일제가 21일로 시행 1년을 맞았다. 실효성에 대해 마트와 전통시장 사이 주장이 엇갈리는 가운데, 의무휴일제를 유지 또는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85.8%에 달하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민주통합당 원혜영·김용익 의원과 참여연대는 대형마트 영업시간 제한에 대해 시민에게 물으니 ‘더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39.5%, ‘현행 기준이 적당하다’는 의견이 46.3%에 달했다고 21일 밝혔다. 여론조사기관 ‘우리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 설문을 집계한 결과다.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의견은 9.1%에 그쳤다.

또 중소기업·소상공인 영역에 대기업의 진출을 막는 ‘적합업종 제도’에 대한 평가에서는 ‘경제민주화를 위해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68.1%로, ‘재벌 대기업에 대한 과도한 규제이므로 반대한다’는 의견 17.1%를 큰 차이로 앞섰다. 대형마트 판매품목 제한에 대해서는 찬성(37.0%) 보다 반대(54.4%) 의견이 많았다.

지난 1년 의무휴일제로 인한 효과에 대해서는 평가가 엇갈린다. 의무휴일제 도입 뒤 국내 대형마트 매출 증가율은 5~9% 수준에서 크게 떨어져, 이마트는 2.9%, 롯데마트는 1.9%에 그쳤다. 홈플러스는 사상 첫 역성장(-4.4%)을 기록했다. 연세대 정진욱·최윤정 교수는 2011년 1월1일~2012년 6월30일 유통 시장을 분석한 결과, 대형마트 매출은 월평균 2441억원이 줄어든 반면, 전통시장 등에 돌아간 금액은 336억~418억원에 불과했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는 대형마트 쪽 기관인 체인스토어협회 의뢰로 진행됐다.

반면 중소기업청 산하 시장경영진흥원이 조사한 전국 전통시장 매출의 ‘시장경기동향지수’를 보면, 의무휴일제 도입 직전이었던 2012년 3월 42.5였던 것이 올해 3월은 53.4로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 수치가 100 미만이면 여전히 시장 상인이 체감하는 경기는 악화하고 있다는 뜻이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홍준표 지사, 휴일 관용차 타고 동창회 가다가 교통사고
MB, ‘황제테니스’도 모자라 ‘반값테니스’?
목욕끝난 할머니, 옷도 안 입힌채 복도로…
“라면 끓여와” 승무원 때린 대기업 임원 감사받는다
문재인에 대한 생각
담배꽁초 훈계하다 벽돌로 맞은 60대 여성 숨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1.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혹평에도 93개국 1위 한 ‘오겜 2’…K-미디어의 가능성은? 2.

혹평에도 93개국 1위 한 ‘오겜 2’…K-미디어의 가능성은?

이어지는 백종원 빽햄 구설…주가도 ‘빽’ 3.

이어지는 백종원 빽햄 구설…주가도 ‘빽’

슬금슬금 엔화 강세…20개월 만에 100엔당 950원 넘어 4.

슬금슬금 엔화 강세…20개월 만에 100엔당 950원 넘어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5.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