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종합청사 앞에서 생존권 대책 마련 촉구
불량식품 판매 금지 계획에 대한 반발도 배경
불량식품 판매 금지 계획에 대한 반발도 배경
대기업 유통 체인의 골목상권 침투에 대한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전국 영세 문구점 상인들이 시위에 나섰다. ‘문방구 사장’들이 집단 행동을 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문구점 상인 단체인 ‘전국학습준비물생산·유통인협회’(협회) 회원 20여명과 시민단체 회원 10여명 등은 26일 서울 세종로 정부종합청사 후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형마트 등에 밀려 사라지고 있는 문구 소매점들의 생존권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실제 학교 앞 문구점들의 숫자는 급격하게 줄고 있다. 1999년 약 2만7000여개에 달하던 문구점의 숫자는 2009년 1만8000여개로 10년 사이 1만개 가까운 숫자가 문을 닫았다. 3분의 1이 사라진 셈이다. 협회의 이성원 사무국장은 “학교 인근 문방구점들의 감소는 이후 소비자 불편으로 돌아올 것이다. 급하게 연필 한 자루를 사려해도 대형마트로 가야하는 식으로 바뀔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구점 사장들이 행동에 나선 배경에는 수익성 악화와 더불어 박근혜 대통령이 강조한 ‘불량 식품’ 근절의 대상으로 학교 앞 문구점이 대상에 올랐기 때문이다. 수익성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그나마 있는 수익 품목을 빼앗는 조처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최근 처로 승격된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청와대에 보고한 올해 업무 추진계획에서 문방구점 식품 판매를 금지하겠다고 밝혔다. 안진걸 경제민주화운동본부 사무국장은 “대선 때 박근혜 캠프는 ‘학교 앞 쫀드기 판매를 금지하겠다는 거냐’는 비판에 대해 불량식품 근절의 의미를 왜곡하는 것이라고 비판한 바 있는 데 이번 식약처의 조치는 이를 직접 실행하겠다는 과잉 조처”라고 말했다. 협회는 “앞서 단속이 강화되면서 마트와 비슷한 품목들만 살아남은 상황에서 문구점만 금지시키겠다는 것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동시에 이들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서울시 대형마트 판매 품목 제한에 문구류를 포함시켜 줄 것과 ‘준비물 없는 학교’ 제도의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학교가 학습 준비물을 맡아 학부모의 부담을 덜어주는 취지는 좋지만 영세 업체들도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현행 최저가 입찰을 통해 일괄 구매에 인근 문방구와 연계하는 예외 규정을 달라는 내용이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