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량저축 7곳 임직원이 말하는 현실
시장은 어떤가
불안한 고객들 예금 썰물처럼
자영업자 대출 많은 지방에선
경기침체 후폭풍 먼저 맞아 생존전략 보니
지역인맥 넓어 현장영업 활발
PF대출 피하고 소액대출 중심
전문경영인이 부실대출 차단해 정부에 바란다
저신용계층 여신 확대 말하려면
먼저 정부의 의지와 지원 필요 “영업 힘든 건 다 마찬가지다. 대출 상담 건수가 1년전까지만 해도 하루 2~3건 있었는데 요새는 하루 한건도 없는 날도 제법된다. 부동산 가치는 하락하고 경기까지 죽으니까 자영업자도 대출을 안받는다. ”(ㅅ저축은행 감사) “지역밀착형·관계형금융을 저축은행의 나아갈 모델이라고 얘기하는데 말만큼 쉽지 않다. 담보나 신용이 부족한 사람이라도 평판이 좋거나 현금흐름이 괜찮으면 대출을 해준다는 게 관계형 금융인데 저축은행 건전성 심사가 엄격해져 신용등급이 낮은 사람에게 대출을 해주면 충당금을 많이 쌓아야 해 제약이 많다.”(ㄷ저축은행 직원) <한겨레>가 지난 21~22일 이틀에 걸쳐 우량 저축은행으로 평가받는 7곳의 임원과 직원들에게 현재 상황과 생존전략, 미래에 대한 고민을 물었더니 털어놓은 속내의 일부다. 2011년 이후 불어닥친 대규모 구조조정으로 지금까지 저축은행 26곳이 퇴출될 정도로 엄혹한 환경에서도 이들은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리고 꿋꿋히 버텨내고 있다. 이들 저축은행은 자산규모 3000억원 안팎의 소규모로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 비율이 퇴출기준(5%)보다 훨씬 높은 15%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 우량저축은행도 힘들긴 마찬가지 이들 또한 업계를 뒤흔든 ‘신뢰도 하락’이라는 직격탄을 피하지는 못했다. 저축은행 퇴출보도가 뉴스를 장식하자 오랫동안 거래를 해온 고객도 불안하다며 썰물처럼 빠져나갔다. 경남 통영에 있는 ㅈ저축은행 임원은 “5000만원 초과 예금액은 2년새 40%대에서서 20% 초반으로 떨어졌다. 그나마 고액 예금자의 대부분은 주주와 직원들”이라고 밝혔다. 여기에 구석구석 점포를 늘리는 은행과 대부업체의 공격적인 마케팅도 이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이다. 특히 자영업자 대출 비중이 높을 수밖에 없는 지방 저축은행은 경기침체의 후폭풍을 가장 먼저 체험하고 있다. 경기도 이천에 있는 ㅅ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주요 고객층은 신용등급이 낮은 사람들이라 경기가 나빠지면 가장 먼저 연체율이 올라간다. 위험 관리를 위해 정부가 90%까지 보증을 해주는 햇살론(고금리 대출을 저금리 대출로 바꿔주는 전환대출)으로 버티고 있다”고 털어놨다. ■ 생존 전략은 “기본에 충실” 그럼에도 이들 저축은행이 생존할 수 있었던 건 지역밀착형 서민금융기관이라는 기본에 충실했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경남 진주의 ㅈ저축은행 관계자는 “모든 대출부서 영업직원들은 근무시간의 70~80%는 현장에 나가서 영업을 한다. 직원들이 곳곳을 돌며 지역민들과 관계를 쌓는다”고 말했다. ㅅ저축은행 관계자는 “임직원이 이 지역에서 자라왔기 때문에 지역을 잘 안다. 지역동호회 등 단체에 가입해 활동하고 있어 지역 인맥이 넓어 시중은행보다 유리한 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덩치가 작다보니 부동산파이낸스(PF)대출 같은 거액 대출은 피하고, 소액대출 중심으로 위험을 분산해 온 것도 도움이 됐다. 무엇보다 대주주나 경영진의 도덕성이 건전성 유지의 바탕이다. 경기도 안양에 있는 ㄷ저축은행은 전문경영인을 둬 독립경영을 해오고 있다. 이 저축은행 관계자는 “여신심사에는 아예 대표이사와 대주주가 참여하지 않는다. 비영업쪽 팀장급들이 심사에 참여해 각각의 전문성을 가지고 대출의 건전성을 면밀히 검토해 부실대출을 차단한다”고 말했다. 아직은 초보적 단계지만 관계형 금융도 시도되고 있었다. 관계형 금융이란 담보가치가 작고, 신용등급이 낮더라도 주변의 신뢰가 높고 평판이 좋으면 대출을 해주거나 이자를 낮춰주는 금융거래 방식이다. 금융위원회는 최근 저축은행이 관계형 금융에 필요한 자체 신용평가시스템을 마련하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 ■ 저축은행의 미래는? ‘갸웃’ 그러나 관계형 금융 도입에 대한 현장의 고민은 녹록치 않다. ㄷ저축은행 임원은 “관계형 금융은 고객과 오랜 거래를 통해 정보를 축적하고 그걸 토대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은행은 예금을 오랫동안 하다가 그 고객이 직접 대출을 하니까 정보가 많다. 그렇지만 저축은행은 예금고객과 대출고객이 이원화돼 있다. 예금금리가 높다보니 신용이 좋은 사람이 저축은행에 예금을 맡기는데, 정작 대출받을 땐 은행으로 가다보니 고객에 대한 정보가 없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이 부실화를 막는다는 이유로 건전성 심사를 강화하면서 되레 관계형 영업이 위축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볼멘 목소리도 나온다. 저축은행 업계 현장에선 무엇보다 정부가 부실 저축은행을 걸러내고 퇴출시키는데 그칠게 아니라 저축은행의 생존 기반 확보를 위한 의지와 정책적 지원을 뒷받침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았다. 금융위가 저축은행의 미래 먹거리를 마련해 줄 밑그림 없이 ‘주인 바꿔주기식’ 구조조정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지적은 금융당국 내부에서도 나온 바 있다. ㅅ저축은행 임원은 “솔직히 어떤 고객을 타깃으로 어떻게 영업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털어놨다. “저축은행에 서민금융 타이틀 붙이고 저신용계층에게 여신을 확대하라고 하려면 정부의 의지와 지원이 필요하다. 반면, 저축은행들도 자신을 이익 창출 회사로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공익적인 가치를 가지고 여기에 부합하는 투명성 확보나 상품개발에 나서야 한다.”(또 다른 ㄷ저축은행 임원) 이재명 박아름 기자 mis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MB 나간 청와대 ‘이사 대작전’
■ “한켤레당 공임 500원 도둑맞아” 39년차 구두쟁이의 분노
■ ‘7번방의 선물’ 1000만 돌파에 경찰이 왜…
■ [강명구 칼럼] “그 사람 참 쿨하잖아”
■ [화보] 떠나는 이명박 ‘카메라도 그리울거요’
불안한 고객들 예금 썰물처럼
자영업자 대출 많은 지방에선
경기침체 후폭풍 먼저 맞아 생존전략 보니
지역인맥 넓어 현장영업 활발
PF대출 피하고 소액대출 중심
전문경영인이 부실대출 차단해 정부에 바란다
저신용계층 여신 확대 말하려면
먼저 정부의 의지와 지원 필요 “영업 힘든 건 다 마찬가지다. 대출 상담 건수가 1년전까지만 해도 하루 2~3건 있었는데 요새는 하루 한건도 없는 날도 제법된다. 부동산 가치는 하락하고 경기까지 죽으니까 자영업자도 대출을 안받는다. ”(ㅅ저축은행 감사) “지역밀착형·관계형금융을 저축은행의 나아갈 모델이라고 얘기하는데 말만큼 쉽지 않다. 담보나 신용이 부족한 사람이라도 평판이 좋거나 현금흐름이 괜찮으면 대출을 해준다는 게 관계형 금융인데 저축은행 건전성 심사가 엄격해져 신용등급이 낮은 사람에게 대출을 해주면 충당금을 많이 쌓아야 해 제약이 많다.”(ㄷ저축은행 직원) <한겨레>가 지난 21~22일 이틀에 걸쳐 우량 저축은행으로 평가받는 7곳의 임원과 직원들에게 현재 상황과 생존전략, 미래에 대한 고민을 물었더니 털어놓은 속내의 일부다. 2011년 이후 불어닥친 대규모 구조조정으로 지금까지 저축은행 26곳이 퇴출될 정도로 엄혹한 환경에서도 이들은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리고 꿋꿋히 버텨내고 있다. 이들 저축은행은 자산규모 3000억원 안팎의 소규모로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 비율이 퇴출기준(5%)보다 훨씬 높은 15%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 우량저축은행도 힘들긴 마찬가지 이들 또한 업계를 뒤흔든 ‘신뢰도 하락’이라는 직격탄을 피하지는 못했다. 저축은행 퇴출보도가 뉴스를 장식하자 오랫동안 거래를 해온 고객도 불안하다며 썰물처럼 빠져나갔다. 경남 통영에 있는 ㅈ저축은행 임원은 “5000만원 초과 예금액은 2년새 40%대에서서 20% 초반으로 떨어졌다. 그나마 고액 예금자의 대부분은 주주와 직원들”이라고 밝혔다. 여기에 구석구석 점포를 늘리는 은행과 대부업체의 공격적인 마케팅도 이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이다. 특히 자영업자 대출 비중이 높을 수밖에 없는 지방 저축은행은 경기침체의 후폭풍을 가장 먼저 체험하고 있다. 경기도 이천에 있는 ㅅ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주요 고객층은 신용등급이 낮은 사람들이라 경기가 나빠지면 가장 먼저 연체율이 올라간다. 위험 관리를 위해 정부가 90%까지 보증을 해주는 햇살론(고금리 대출을 저금리 대출로 바꿔주는 전환대출)으로 버티고 있다”고 털어놨다. ■ 생존 전략은 “기본에 충실” 그럼에도 이들 저축은행이 생존할 수 있었던 건 지역밀착형 서민금융기관이라는 기본에 충실했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경남 진주의 ㅈ저축은행 관계자는 “모든 대출부서 영업직원들은 근무시간의 70~80%는 현장에 나가서 영업을 한다. 직원들이 곳곳을 돌며 지역민들과 관계를 쌓는다”고 말했다. ㅅ저축은행 관계자는 “임직원이 이 지역에서 자라왔기 때문에 지역을 잘 안다. 지역동호회 등 단체에 가입해 활동하고 있어 지역 인맥이 넓어 시중은행보다 유리한 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덩치가 작다보니 부동산파이낸스(PF)대출 같은 거액 대출은 피하고, 소액대출 중심으로 위험을 분산해 온 것도 도움이 됐다. 무엇보다 대주주나 경영진의 도덕성이 건전성 유지의 바탕이다. 경기도 안양에 있는 ㄷ저축은행은 전문경영인을 둬 독립경영을 해오고 있다. 이 저축은행 관계자는 “여신심사에는 아예 대표이사와 대주주가 참여하지 않는다. 비영업쪽 팀장급들이 심사에 참여해 각각의 전문성을 가지고 대출의 건전성을 면밀히 검토해 부실대출을 차단한다”고 말했다. 아직은 초보적 단계지만 관계형 금융도 시도되고 있었다. 관계형 금융이란 담보가치가 작고, 신용등급이 낮더라도 주변의 신뢰가 높고 평판이 좋으면 대출을 해주거나 이자를 낮춰주는 금융거래 방식이다. 금융위원회는 최근 저축은행이 관계형 금융에 필요한 자체 신용평가시스템을 마련하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 ■ 저축은행의 미래는? ‘갸웃’ 그러나 관계형 금융 도입에 대한 현장의 고민은 녹록치 않다. ㄷ저축은행 임원은 “관계형 금융은 고객과 오랜 거래를 통해 정보를 축적하고 그걸 토대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은행은 예금을 오랫동안 하다가 그 고객이 직접 대출을 하니까 정보가 많다. 그렇지만 저축은행은 예금고객과 대출고객이 이원화돼 있다. 예금금리가 높다보니 신용이 좋은 사람이 저축은행에 예금을 맡기는데, 정작 대출받을 땐 은행으로 가다보니 고객에 대한 정보가 없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이 부실화를 막는다는 이유로 건전성 심사를 강화하면서 되레 관계형 영업이 위축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볼멘 목소리도 나온다. 저축은행 업계 현장에선 무엇보다 정부가 부실 저축은행을 걸러내고 퇴출시키는데 그칠게 아니라 저축은행의 생존 기반 확보를 위한 의지와 정책적 지원을 뒷받침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았다. 금융위가 저축은행의 미래 먹거리를 마련해 줄 밑그림 없이 ‘주인 바꿔주기식’ 구조조정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지적은 금융당국 내부에서도 나온 바 있다. ㅅ저축은행 임원은 “솔직히 어떤 고객을 타깃으로 어떻게 영업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털어놨다. “저축은행에 서민금융 타이틀 붙이고 저신용계층에게 여신을 확대하라고 하려면 정부의 의지와 지원이 필요하다. 반면, 저축은행들도 자신을 이익 창출 회사로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공익적인 가치를 가지고 여기에 부합하는 투명성 확보나 상품개발에 나서야 한다.”(또 다른 ㄷ저축은행 임원) 이재명 박아름 기자 mis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MB 나간 청와대 ‘이사 대작전’
■ “한켤레당 공임 500원 도둑맞아” 39년차 구두쟁이의 분노
■ ‘7번방의 선물’ 1000만 돌파에 경찰이 왜…
■ [강명구 칼럼] “그 사람 참 쿨하잖아”
■ [화보] 떠나는 이명박 ‘카메라도 그리울거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