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갈색설탕, 백설탕 녹였다

등록 2012-06-03 20:45수정 2012-06-03 22:22

판매량서 7년간 앞서 눈길
설탕 하면 보통 하얀색 가루를 연상한다. 그러나 마트에서 실제 매출은 갈색 설탕이 하얀 설탕을 추월한 지 오래라는 조사 결과가 제시돼 눈길을 끈다.

롯데마트가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하얀 설탕 대비 갈색 설탕의 매출 비중을 분석한 결과, 2003년까지 하얀 설탕의 70%에도 미치지 못하던 갈색 설탕 매출이 2005년 87% 수준으로 따라잡더니 2006년부터는 계속 앞서고 있다. 3㎏ 기준으로 갈색 설탕은 5960원, 하얀 설탕은 5130원으로 값이 싼 것도 아니다.

갈색 설탕은 하얀 설탕보다 빛깔을 더 곱게 해주기 때문에 술을 담글 때 선호된다. 대표적 담금주 재료인 ‘매실’의 매출 신장과 출하 시기를 놓고 두 설탕의 매출을 비교한 자료를 보면, 이런 분석이 설득력을 얻는다. 갈색 설탕이 하얀 설탕을 앞지르기 시작한 2006년 앞뒤로 매실의 매출 신장률이 한자릿수에서 60~70%대로 껑충 뛰었다. 또한 매실이 주로 출하되는 시기인 5~7월에 갈색 설탕의 매출이 집중된다. 원료인 사탕수수 즙을 정제해 나오는 것이 백설탕, 여기에 열을 가하는 등의 공정을 거치면 갈색 설탕, 캐러멜 등을 첨가하면 흑설탕이 된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박근혜 주체사상탑·김일성 생가 방문…국민들 불안”
‘통일의 꽃’ 임수경, ‘근본없는 탈북자 XX’ 막말 파문
정몽준 “핵무기 보유 능력 갖춰야” 주장 논란
미국 ‘미인계’에 걸려든 중국 스파이 체포
세계유일 ‘성교육버스’ 탁트인 세상으로 부릉부릉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1.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2.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김재규가 쏘지 않았어도 ‘박정희 경제 모델’은 망했을 것” 3.

“김재규가 쏘지 않았어도 ‘박정희 경제 모델’은 망했을 것”

마지막 ‘줍줍’…세종 무순위 아파트 3가구 120만명 몰렸다 4.

마지막 ‘줍줍’…세종 무순위 아파트 3가구 120만명 몰렸다

이어지는 백종원 빽햄 구설…주가도 ‘빽’ 5.

이어지는 백종원 빽햄 구설…주가도 ‘빽’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