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 온도 올라 고유종 잘피는 줄어
국토해양부는 29일 국내 연안의 해수 온도가 상승하면서 자생하는 고유 잘피종이 감소하고, 해호말 등 열대성 잘피가 남해안 전역에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잘피는 연안과 강 하구에서 자라면서 해양생물의 산란장과 서식지 구실을 하는 현화식물이다. 국내 연안에는 온대성 잘피 8종이 분포하고 있었으나 해수 온도 상승으로 유입된 열대성 잘피가 2007년 여수에서 처음 발견됐다.
특히 여름철 고수온에서 생장속도가 떨어지는 자생종 잘피와는 달리 온도가 높을수록 생장이 촉진되는 해호말은 해수 온도가 계속 상승하면 더욱 번성할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온난화로 인한 해양생태계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10년 동안 400억원을 투입해 장기해양생태계 연구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국토부는 29~30일 부산 벡스코에서 ‘제1차 장기해양생태계 연구 심포지엄’을 열어 지난 1년 동안의 연구 성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근혜 대 문재인…사활건 ‘대선 전초전’ 개막
■ 현직 부장검사 회식자리서 여기자 2명 몸 더듬고 성추행
■ 안철수, 송호창·인재근에 지지 메시지…4·11총선 본격 개입
■ 김윤옥 국립중앙박물관 만찬, 어떻게 봐야 하나?
■ ‘라면의 남성성’ 과학분석으로 밝힌다?
■ 박근혜 대 문재인…사활건 ‘대선 전초전’ 개막
■ 현직 부장검사 회식자리서 여기자 2명 몸 더듬고 성추행
■ 안철수, 송호창·인재근에 지지 메시지…4·11총선 본격 개입
■ 김윤옥 국립중앙박물관 만찬, 어떻게 봐야 하나?
■ ‘라면의 남성성’ 과학분석으로 밝힌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