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안전공단 27종 조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자동차용 연료절감기의 효과가 거의 없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교통안전공단은 1997년부터 2009년까지 모두 27종의 연료절감기 성능을 분석한 결과 이런 장치를 장착했을 때 연료가 불과 평균 0.1%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판매자들이 광고에서 주장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제품은 없었다고 22일 밝혔다.
교통안전공단은 최근 고유가로 인해 연료절감기를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으나 성능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부족하다고 판단해 이번에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공단 관계자는 “연비 향상은 전체적인 자동차 시스템을 고려해 설계해야 하는데 시판되는 연료절감기처럼 자동차 일부 장치의 부분적인 성능만을 고려한 제품의 경우 성능 저하나 자동차 손상을 가져올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또 “시판 중인 연료절감기를 전수조사한 것은 아니지만 연료절감기의 작동원리는 동일하다”며 “현재 국내에는 연료절감기 인증제도가 없어 공공기관 인증을 받았다고 허위 광고하는 제품에 현혹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연료계통, 흡입기, 배기계 등에 부착해 연료를 절감할 수 있다고 알려진 연료절감기는 시중에서 10만~30만원에 팔리고 있다.
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원순 시장 “강용석, 영원히 정계 은퇴하라 ”
■ MB “측근 비리, 화나서 가슴 친다” 또 남탓
■ 전남편 같은 김어준, 팬심 자극하는 진중권
■ 또 성매매…스트로스칸 긴급체포
■ 나경원-신은경, 공천심사장서 만나 ‘까칠한 신경전’
■ 박원순 시장 “강용석, 영원히 정계 은퇴하라 ”
■ MB “측근 비리, 화나서 가슴 친다” 또 남탓
■ 전남편 같은 김어준, 팬심 자극하는 진중권
■ 또 성매매…스트로스칸 긴급체포
■ 나경원-신은경, 공천심사장서 만나 ‘까칠한 신경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