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항공사의 국제선 취항지가 동남아 일변도에서 러시아 등 북방으로 다변화할 가능성이 커졌다.
국토해양부는 15일 “러시아가 블라디보스토크에 한해 항공 자유화를 하기로 했다고 러시아 언론이 보도했다”며 “외교경로를 통해 러시아 정부의 공식견해를 확인하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러시아는 극동의 블라디보스토크를 시베리아와 동아시아, 북미를 오가는 환승객이 교차하는 허브 공항으로 키운다는 전략 아래 이런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블라디보스토크의 하늘길이 열리게 되면 저가항공사들은 그동안 일본과 타이 방콕, 홍콩, 필리핀 마닐라 등으로 국한됐던 노선을 북방으로 넓힐 기회를 맞게 된다. 현재 진에어 등 국내 5개 저가항공사는 소형 비행기로 오갈 수 있는 4시간 이내 거리에만 국제선을 띄우고 있다. 이 때문에 노선이 서로 겹치고 경쟁도 치열해져 항공자유화국인 타이에는 제주항공을 비롯해 에어부산, 진에어, 이스타항공, 티웨이항공까지 5개 저가항공사가 모두 뛰어들어 경쟁하고 있다.
남방이 거의 포화상태에 이른 상황에서 인천공항에서 2시간 이내 거리의 블라디보스토크는 새로운 노선을 뚫으려는 저가항공사에는 매력적인 활로다.
업계는 인천-블라디보스토크 노선은 동남아로 가려는 러시아 환승객, 러시아와 한국을 오가는 보따리상 등 지속적인 수요가 있고, 러시아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부산과 블라디보스토크를 잇는 노선도 수요가 상당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저가항공사들은 다음달 한-중 항공회담을 통해 중국 본토 일부 노선이 개방되면 중국 진출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