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면적의 350배
해저열수광상 독점개발
해저열수광상 독점개발
우리나라가 남태평양 피지에 여의도 면적의 약 350배에 달하는 대규모 해양광물영토를 확보했다.
국토해양부는 피지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내 약 3000㎢ 규모의 ‘해저열수광상’ 탐사광구(지도)를 독점 확보했다고 10일 밝혔다. 해저열수광상은 수심 1000~3000m에서 마그마로 가열된 뜨거운 물이 온천처럼 솟아나는 과정에서 금속이온이 차가운 물에 접촉하면서 침전돼 형성되는 광물자원을 말한다. 차세대 전략 광물자원인 금과 은, 구리, 아연 등 주요 금속을 포함하고 있다. 국토부는 20년 간 연 30만t을 개발할 경우 연간 3억2000만달러의 수입대체 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국외에서 탐사광구를 독점 확보한 것은 지난 2008년 3월 남태평양 통가왕국에서 약 2만4000㎢를 확보한 이래 두 번째이다. 현재 통가 해저열수광상에서는 국토부와 삼성중공업, 에스케이(SK)네트웍스, 포스코 등 민간기업이 합작사업으로 탐사 개발을 하고 있다.
남태평양 도서국가 인근 해역은 해저 광물자원이 풍부하게 분포돼 있어 다국적 민간 광물 개발기업들이 탐사광구 확보를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는 지역이다. 임현택 국토해양부 해양영토개발과장은 “노틸러스 등 민간 다국적 기업을 제치고 개발권을 따낸 것은 피지정부가 채광, 조선, 제련 등 우리나라 심해저 광물자원 개발 관련 기술우위를 인정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다음달 민자유치 설명회를 열어 참여기업을 모집한 뒤 한국해양연구원과 공동으로 정밀 탐사 작업 등을 거쳐 2017년부터 자원 채취·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