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불카드 가맹점 48만곳 불과
체크카드 비중 커지고 있으나
신용카드보다 적립·할인 적어
체크카드 비중 커지고 있으나
신용카드보다 적립·할인 적어
직불형 카드로 일컬어지는 ‘체크카드’와 ‘직불카드’는 결제하는 즉시 통장에서 돈이 빠져나간다는 점에선 똑같지만, 결제망이 각각 다르다. 체크카드 결제는 각 신용카드사의 전산망을 통해 이뤄지며, 직불카드는 금융결제원의 금융공동망에서 결제된다. 이 때문에 체크카드 소지자는 24시간 카드를 이용할 수 있는데 견줘, 직불카드 소지자는 금융공동망 가동 시간인 오전 8시부터 밤 11시30분까지만 쓸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범위에도 차이가 있다. 현재 체크카드는 신용카드 가맹점 206만곳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직불카드 가맹점은 48만 곳에 지나지 않는다. 은행별 중복된 곳을 빼면 25만 곳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금융권에선 추정한다.
체크카드나 직불카드 모두 신용카드에 비해선 비중이 아직은 매우 작은 편이다. 지난 한해 신용카드 사용액은 412조1000억원에 이르는 데 비해 체크카드는 51조5000억원, 직불카드 결제액은 3000억원 수준이다. 그나마 체크카드는 꾸준히 비중을 늘려가고 있지만, 직불카드는 사양길을 걷고 있다.
은행연합회 윤성은 수신제도부장은 “소비자들이나 가맹점 쪽에서 볼 때 체크카드와 직불카드는 여러 가지 면에서 신용카드에 비해 불리한 점이 많다”고 설명했다. 예컨대, 신한카드의 신용카드인 ‘하이포인트카드’는 최고 5%까지 포인트를 적립해주는 데 비해 체크카드인 ‘하이포인트체크’ 소지자에 대한 적립 비율은 3%로 낮다. 할인 혜택도 신용카드 쪽에 많다. 직불카드를 사용할 경우엔 이런 서비스를 아예 받을 수 없다.
신용카드사 쪽도 체크카드보다는 신용카드 사용을 반긴다. 가맹점으로부터 받는 수수료가 높기 때문이다. 신한카드 예를 보면, 체크카드의 중소 가맹점 수수료는 1.0%인데, 신용카드 수수료는 2.05%(내년 1월부터 1.6~1.8%)이다. 가맹점으로선 소비자와 신용카드사가 원하니 별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 또 직불카드를 받으려면 가맹점 쪽이 대당 4만~5만원에 이르는 비밀번호 입력기(PIN 패드)를 설치해야 하는 것도 부담이다.
금융연구원 이재연 선임연구위원은 “빚을 내 소비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인 신용카드 사용을 줄이고, 직불카드나 체크카드 사용을 늘리는 쪽으로 유도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영배 기자 kimyb@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