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현재 7만2667가구
전국의 미분양 아파트 수가 열세달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전국의 미분양 아파트 수는 총 7만2667가구로 전월(7만1360가구) 대비 1.8%(1307가구) 늘었다고 3일 밝혔다.
전국 미분양 주택 수가 증가세로 돌아선 것은 지난해 5월(11만460가구) 이후 처음이다. 특히 2년 넘도록 미분양 감소세가 이어지던 지방에서도 27개월만에 다시 증가세로 반전했다. 최근 분양시장을 주도하던 지방의 미분양 아파트 수는 6월 말 기준 총 4만5442가구로 전월(4만4327가구)에 견줘 2.5%(1115가구) 증가했다.
광역시별로는 대전이 1629가구로 전월보다 28.1%(357가구) 늘었고, 대구는 1만1577가구로 16.8%(1661가구) 증가했다. 또 경남은 3048가구로 5.2%(152가구), 제주는 146가구로 3.5%(5가구), 부산은 2682가구로 0.4%(11가구) 각각 늘었다.
수도권의 경우엔 총 2만725가구의 아파트가 미분양으로 남아 전월(2만7033가구)에 비해 0.7%(192가구) 늘며 2개월 연속 증가세를 나타냈다. 국토부는 경기도 내 기존 미분양 물량은 줄어들고 있지만 고양시 식사동 위시티자이의 잔금 미납자 해약 등으로 인해 1005가구의 무더기 계약 취소가 발생한 게 수도권 미분양 증가의 주요 이유라고 설명했다.
한편 악성 미분양으로 꼽히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전월(3만9018가구) 대비 686가구 늘어난 3만9704가구로 조사됐다. 전체 미분양 수의 55% 수준이다. 전용면적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4만5344가구로 전월과 비교해 260가구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전체 미분양의 62%를 차지했다.
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