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그렇구나 경제고통지수
장마철입니다. 덩달아 불쾌지수도 높아졌습니다. 불쾌지수란 온도와 습도에 따라 사람이 피부로 느끼는 불쾌감의 정도를 나타냅니다. 고온다습한 장마철엔 불쾌지수가 높은 상태를 유지합니다.
경제에서도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을 수치로 나타낸 국민경제고통지수가 있습니다. 미국 경제학자 오컨이 불쾌지수를 차용해 고안한 겁니다. 고통지수는 보통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합산하는 방식을 씁니다. 거시경제 지표로는 잘 드러나지 않는 국민들의 실제적인 경제적 고통의 크기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지수라고 할 수 있죠. 수치가 높을수록 물가는 비싸지고 실업자는 늘어 체감하는 삶의 고통은 커집니다. 반대로 수치가 낮을수록 국민들의 삶의 질은 나아진다는 뜻으로 풀이할 수 있습니다.
올해 들어 우리나라의 고통지수는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 5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4.1% 올랐고, 실업률은 3.2%였습니다. 따라서 고통지수는 7.3입니다. 지난 2월과 3월엔 9.0을 기록해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9월과 같은 수준이었습니다. 이명박 정부의 평균 고통지수는 7.1이고, 노무현 정부는 평균 5.6이었습니다. 고통지수가 사상 최고치였던 때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2월부터 4월로 석달 연속 15.6을 기록했습니다. 당시 물가는 9%대, 실업률은 6%대였습니다.
고통지수가 올해 들어 급등한 가장 큰 이유는 소비자물가 때문입니다. 소비자물가는 여섯달 연속 4%대를 넘어섰고 실업률도 지난 2월과 3월에 각각 4.5%와 4.3%로 지난해의 3%대보다 높았습니다. 고통지수는 앞으로도 쉽게 개선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획재정부가 6월30일 내놓은 올 하반기 경제전망을 보면, 고통지수는 7.3으로 계산됩니다.
최근 고통지수가 악화되는 건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입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와 국제유가 상승 때문입니다. 차이점이 있다면 우리나라는 고물가가 주요 원인이고, 선진국은 실업률이 높은 탓입니다. 올 5월 현재 주요국의 고통지수를 보면, 미국은 12.3, 유럽연합은 12.7, 영국은 12.2, 중국은 9.6으로 나타났습니다. 세계 금융위기 때인 2008년 9월과 비교해 모두 상승한 것입니다. 주요국들의 고통지수가 우리나라보다 모두 높게 나타나는 것도 특징입니다.
그러나 고통지수를 나라별로 단순비교하는 건 무리가 있습니다. 소비자물가를 계산하는 기준 등에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소비자물가 산정 때 품목별 가중치 조정주기가 5년인 반면, 영국·프랑스는 1년, 미국은 2년입니다.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지표 중 일부만 사용한다는 맹점도 존재합니다. 불쾌지수로 스트레스가 쌓이는 걸 예방하려면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긴장과 피로를 풀어주는 게 좋습니다. 고통지수는 어떻게 낮출 수 있을까요? 물가는 내리고 일자리는 늘려야겠죠. 하지만 여러 상황을 보면 쉽지 않아 보입니다. 이재명 기자 mis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