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소득분배율 큰폭 하락
성장과실 대부분 기업 쏠려
성장과실 대부분 기업 쏠려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3년간 30대 기업들의 영업이익은 70% 이상 늘어났지만, 가계소득은 13% 정도 상승하는 데 그쳤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실질소득 증가율은 2.4%밖에 되지 않는다.
3일 통계청의 가계동향 자료를 보면, 전국 가구(2인 이상) 월평균 소득(명목 기준)은 2007년 320만원에서 지난해 363만2000원으로 13.5% 증가했다. 2008년 339만원(전년 대비 6.0% 증가)이었던 가계소득은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343만2000원(1.2% 증가)으로 제자리걸음을 했다가 지난해 363만2000원(5.8% 증가)을 기록했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실질소득은 거의 늘어나지 않았다. 2007년 305만2000원이었던 실질소득은 2010년 312만8000원으로 2.4% 증가했다. 2008년은 연간 4.7%에 이르는 고물가로 실질소득 증가율이 1.3%에 그쳤고, 2009년은 금융위기 여파로 1.5% 감소했다. 지난해에는 2.8% 증가율을 보였다. 3년간 실질 경제성장률은 각각 2.3%, 0.3%, 6.2%였다. 가계소득 증가율이 경제성장률 증가율에 훨씬 못 미쳤는데, 이는 성장의 과실이 대부분 기업으로 돌아갔다는 의미다.
이는 노동소득분배율 추이를 봐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은행 국민계정 자료를 보면 노동소득분배율은 2006년 61.3%까지 올라간 뒤 2007년 61.1%, 2008년 61.0%, 2009년 60.9%로 점점 하락하다, 지난해 59.2%로 뚝 떨어졌다. 노동소득분배율은 국민소득(영업잉여+피용자보수)에서 피용자보수가 차지하는 비율로, 국민소득 가운데 근로자에게 돌아가는 몫의 비중을 뜻한다. 지난해 기업의 영업잉여 증가율은 전년보다 16.4% 급증했지만, 근로자의 피용자보수 증가율은 6.9%에 그쳤다.
안선희 기자 sh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