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발전계획안 확정
재원 조달방안은 불투명
재원 조달방안은 불투명
정부가 민간자본을 포함해 모두 50조원 규모의 투자가 필요한 동·서해안권 발전 청사진을 내놨다.
국토해양부는 동해안권과 서해안권을 새로운 산업·물류·관광 거점으로 만드는 동·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을 최종 확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계획을 보면, 동해안권은 에너지·관광산업 벨트로 개발한다. 국가에너지 생산량의 60%를 담당할 수 있는 에너지 산업벨트를 구축한다. 울산~경주~울진을 잇는 원자력 클러스터, 울산의 동북아 오일 허브, 삼척의 복합에너지 거점 등이 중심이다. 울진의 해양 과학클러스터와 포항·울산의 해양자원 연구·생산단지 등을 통해 해양연구 탐사 거점으로도 조성한다. 설악·경주·강릉·울릉권으로 각각 묶어 국제 관광벨트를 만들고 강릉~동해~삼척~울산을 잇는 신소재 바이오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서해안권은 지식·첨단산업벨트와 함께 인천, 새만금, 군산 경제자유구역과 연계한 국제 비즈니스 거점을 조성한다. 국제회의와 비즈니스뿐 아니라 컨벤션, 전시, 쇼핑, 관광, 숙박 등을 연계한 산업을 활성화하겠다는 취지다. 충남 서해안권은 국제관광과 휴양사업을 조화롭게 배치하고, 새만금권은 신재생에너지 벨트와 식품산업벨트로 개발할 방침이다. 파주~화성~평택~아산을 잇는 디스플레이·반도체 산업벨트와 화성~아산~홍성~군산을 잇는 자동차 산업벨트도 구축한다.
계획 추진을 위해 정부는 동해안권에 24조8000억원, 서해안권 25조2000억원의 사업비가 투자되어야 할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재원조달 방안이 불투명하다. 정부는 지난해 4대 벨트 구상 발표 당시 올해까지 예산 확보를 위한 계획을 내놓겠다고 밝혔지만 이번에도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구체적인 사업별·주체별 재원분담 방안이 확정될 예정”이라고만 밝혔다.
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