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기습적 금리인상-세계경제 미칠 영향은
중 긴축기조 강화땐 경기회복세 ‘찬물’
장기적으론 “중 경제체질 개선” 긍정
달러 강세·일 증시 급락 등 시장 민감
중 긴축기조 강화땐 경기회복세 ‘찬물’
장기적으론 “중 경제체질 개선” 긍정
달러 강세·일 증시 급락 등 시장 민감
중국이 지난 19일 밤 전격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국내외 경제에 미칠 파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의 ‘성장 엔진’으로 떠오른 중국이 긴축기조를 강화할 경우 세계경제를 둔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대중 수출 의존도가 날로 높아지고 있는 한국 경제도 자칫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중국의 금리인상은 위안화 절상 압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다음달 11일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를 앞두고 잔뜩 고조된 미-중 ‘환율전쟁’의 긴장감을 누그러뜨릴 수 있는 측면도 있다.
■ 중국 ‘깜짝 인상’에 전세계 금융시장 출렁 2년10개월 만에 이루어진 이번 금리인상은 무엇보다 대출을 억제해 부동산 등 자산거품 압력을 줄이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중국사회과학원의 장샤오징 거시경제연구소 부주임은 “지난 2년여 동안 사상 유례없는 대규모 대출로 자산가격, 특히 부동산가격이 급등했다”며 “이번 금리인상은 과잉유동성을 흡수하려는 조처”라고 설명했다. 인플레이션 우려 역시 커지고 있다. 지난 7월 이후 중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계속 3%를 웃돌고 있다.
중국의 금리인상 소식이 알려지자 전세계 금융시장은 화들짝 놀라는 모습이었다. 경기 둔화 우려에 안전자산인 달러 가치는 올랐고, 중국 수요에 크게 좌우되는 원유·금 등 원자재 가격은 하락했다. 19일 미국 증시는 일제히 하락했고, 20일 일본 도쿄 닛케이지수는 157.85(1.65%) 떨어진 9381.60으로 장을 마감했다.
■ 세계·한국경제 찬물 우려…출구전략 영향 중국의 금리인상 소식에 세계 금융시장이 민감한 반응을 보인 것은, 세계경제 회복의 가장 강력한 동력 구실을 했던 중국마저 ‘속도조절’에 나서겠다는 신호를 보냈기 때문이다.
중국의 금리인상이 부동산값 잡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긴 하지만, 자산가격이 주춤하면 소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이 경우 한국을 비롯해 그동안 중국의 내수시장 성장에 기대왔던 나라들의 수출이 감소할 수 있다. 올해 들어 1~8월 한국의 대중국 수출 비중은 전체 수출의 25.1%에 이를 정도로, 우리 경제의 중국 의존도가 높은 상태다. 더구나 중국 금리인상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을 경우, 자칫 부동산가격 급락 등 ‘경착륙’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중국의 긴축이 중국 경제의 위험요인을 제거해 장기적으로는 세계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장보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은 “중국 정부가 내수부양을 핵심정책으로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 조처로 중국 소비가 크게 위축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오히려 중국 경제의 건전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우리 경제에 미칠 또다른 영향으로는 ‘출구전략’의 조기시행 가능성을 들 수 있다. 최근 한국은행이 잇따라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국내에서도 물가상승과 자산거품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었다. 중국의 금리인상은 ‘우리도 금리인상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에 힘을 실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만약 이번 조처로 세계경제나 우리 경제가 받는 타격이 예상보다 심각할 경우에는, 반대로 ‘출구전략 연기론’의 근거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 미-중 환율전쟁 완화? 중국의 금리인상은 ‘환율전쟁’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 나왔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오는 22일 경주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 직전이기도 하다.
중국 금융시장의 특성상 기준금리 인상이 위안화 절상으로 바로 연결되리라는 보장은 없지만, 이론적으로 위안화 절상 가능성을 높이는 것은 사실이다. 중국으로서는 금리인상을 미국 등 선진국들의 위안화 절상 요구를 간접 수용한 것이라고 내세울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전민규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금리인상이 중국의 유화 제스처로 해석되면서 환율전쟁의 완화로 이어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안선희 기자, 워싱턴 베이징/권태호 박민희 특파원 sh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