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림허브 프로젝트금융투자 지분 구성
건설사들, 자금조달 중재안 거부…협상 결렬
땅주인 코레일, 20일부터 계약해지 절차 돌입
땅주인 코레일, 20일부터 계약해지 절차 돌입
총사업비 31조원 규모의 사상 최대 도시개발 사업인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용산역세권) 개발이 사업 주체들간 토지매입 대금 분담방안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결국 무산되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
용산역세권 개발 시행을 위해 설립된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인 ‘드림허브프로젝트’(이하 드림허브)는 6일 서울 광화문빌딩에서 이사회를 열어, 삼성물산을 비롯한 17개 건설회사 투자자들의 지급보증안을 논의했으나 전략·재무적 투자자와 건설사간 의견 차이만 확인한 채 끝났다. 이에 따라 용산역세권의 토지 소유주인 코레일 쪽은 애초 밝힌 대로 이달 20일 이후 건설사들과의 사업계약에 대한 해지 절차에 들어가고, 드림허브 출자사들을 상대로 지금까지 밀린 토지매매 중도금 등 7000여억원에 대한 납부이행 청구소송에도 들어갈 방침이다.
앞서 드림허브의 민간 최대주주인 롯데관광개발과 푸르덴셜그룹 등 재무적 투자자들은 건설투자자들의 지급보증 규모를 2조원에서 9500억원으로 줄이는 내용의 중재안을 만들어 이날 이사회 안건으로 올렸다. 그러나 건설투자자들은 이사회에 앞서 제출한 의견서에서 “17개 건설투자자에 대해서만 9500억원의 지급보증을 요구하는 것은 각 주주사별로 지분비율에 의해 책임을 분담한다는 협약의 정신 및 원칙에 반하는 것”이라며 중재안 거부 의사를 밝혔다.
코레일 쪽은 이날 “재무·전략적 투자자 대표사가 제시한 자금조달 중재안에 대해 법규에 위배되는 일부 사안 외에는 대승적으로 수용했지만 건설투자자 쪽이 중재안 수용을 받아들이지 않아 유감”이라고 건설사들을 비난했다. 이에 대해 삼성물산 쪽은 “용산개발의 사업수익성이 예상보다 크게 떨어진데다 토지매입을 위한 지급보증 요구액도 너무 커 건설사들간 합의를 찾기가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코레일 쪽은 20일부터 건설투자자와 사업계약 해지 절차에 들어가면 곧바로 새로운 사업시행자 물색에 나설 계획이다. 드림허브 관계자는 “자산유동화증권(ABS) 이자 납부 시한인 다음달 17일까지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사실상 이번 사업은 파국을 맞게 된다”고 말했다.
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