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매각 작업이 다음달 중에 재개될 전망이다.
정책금융공사는 다음달 안에 매각 주간사를 선정하는 등 현대건설 매각 작업을 재개할 방침이라고 19일 밝혔다. 정책공사 관계자는 “현대건설은 조기 매각이 원칙이나 그동안 대우건설과 겹치지 않도록 시기를 조율해 왔다”며 “다음달에는 대우건설 지분이 산업은행 사모펀드(PEF)로 넘어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현대건설도 매각 작업을 재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채권단 관계자는 “대우건설 처리가 다소 늦어지더라도 6월 중에는 시장에 매각 시그널을 주겠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채권단의 이런 태도는 애초 대우건설 문제가 완전히 마무리된 뒤 현대건설 매각에 나서겠다는 기존 방침보다 진전된 것이다. 현대건설 주주협의회 대표인 외환은행은 최근 정책공사와 우리은행에 6월 중 매각안을 제안했고 공사 쪽이 이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0월 산은금융지주에서 분리된 정책금융공사는 현대건설 지분 11.2%를 보유한 최대 주주이며, 외환은행과 우리은행은 각각 8.7%와 8.6%를 갖고 있다.
현대건설은 현대기아차그룹과 현대중공업 등 범현대가가 유력한 인수 후보로 꼽혀 왔다. 유재한 정책공사 사장은 인수 자격과 관련해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을 생각”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특히 현대건설은 과거 모그룹인 현대그룹의 주력 계열사인 현대상선 지분(8.3%)을 갖고 있어 그룹 경영권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한편 유 사장은 이날 “삼성전자가 대규모 투자에 나선 만큼 필요하다면 하이닉스반도체에도 (설비투자 자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채권기관들과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책공사는 올 하반기 중에 채권단이 보유한 하이닉스 지분 중 5%를 추가로 매각할 예정이다.
김회승 기자 hon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