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한국 반도체 잇단 ‘세계 최초’

등록 2010-01-13 21:11

삼성전자는 내장 메모리로는 업계 최대용량인 30나노급 64기가바이트(GB) 낸드플래시(모비낸드)를 양산한다고 13일 밝혔다. 이 제품은 32기가비트(Gb) 낸드플래시 칩 16개와 컨트롤러 1개를 17단으로 쌓아올려 하나의 패키지로 만든 제품이다. 지난해 4월 32GB 제품 양산에 이어 8개월만에 두배 용량의 제품 양산을 시작한 것이다. 휴대전화 등 모바일기기의 내장 메모리 용량 64기가바이트는, 외장 메모리 카드 용량과 맞먹거나 웃도는 것이다. 낸드플래시 경쟁사인 일본 도시바는 지난해 말 같은 용량 제품을 개발했지만 아직 양산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업체 최고 수준의 대용량 메모리를 맨 처음 양산함으로써 스마트폰, 디지털 캠코더 등 모바일기기에서 시장 지배력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하이닉스반도체도 이날 업체 처음으로 40나노급 2Gb 모바일 디(D)램 개발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하이닉스반도체는 “모바일 디램에서 40나노급 초미세 공정이 적용된 2Gb급 제품은 처음이며 올 상반기 중 양산할 계획”이라며 “전력 소모도 기존 제품의 30%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도 40나노급 모바일 디램을 상반기에 양산할 계획이다. 현재 일본·대만의 경쟁업체들은 50나노급 양산에 머물고 있는데, 40나노급 양산기술은 이보다 생산성이 30%가량 뛰어난데, 하이닉스는 세계 모바일 디램 시장 점유율을 2007년 7.1%에서 올해 30%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김회승 기자 hon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관세 송곳니 트럼프에 “설마가 현실로”…반도체·철강도 사정권 1.

관세 송곳니 트럼프에 “설마가 현실로”…반도체·철강도 사정권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2.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3.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딥시크·트럼프발 악재’ 여파 환율 급등…‘1500 방어선’ 지켜낼까 4.

‘딥시크·트럼프발 악재’ 여파 환율 급등…‘1500 방어선’ 지켜낼까

공정위 칼 빼든 ‘쿠팡 끼워팔기’…위법인가, 마케팅 수단인가 5.

공정위 칼 빼든 ‘쿠팡 끼워팔기’…위법인가, 마케팅 수단인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