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찌는 금리에 말라가는 서민
1%p 상승시 이자부담 연 2조↑…저소득층 비중 높아 ‘직격탄’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이 연간 2조원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층이 주택담보대출을 많이 받은 탓에 가계 재무구조가 금리상승에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13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올해 6월말 현재 은행권의 전체 주택담보대출잔액은 254조4000억원으로, 이 중 변동금리조건부 대출은 235조원(92%)으로 집계됐다. 변동금리대출의 84%인 197조4000억원은 시디금리에 연동돼 있다. 이에 따라 시디금리가 1%포인트 상승할 때마다 대출자들의 연간이자 부담은 1조9740억원씩 늘어난다고 금감원은 밝혔다. 금리 변동주기도 3개월 이하가 89.5%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3~6개월 6.4%, 나머지는 6개월 이상이었다. 올해 초 사상 최저수준으로 낮아졌던 시디금리는 지난 8월 이후 서서히 오르고 있는 추세다.
특히 소득수준이 낮은 계층의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가장 높아, 대출금리가 오르면 이들 계층이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말 기준 소득분위별 주택담보대출 비중을 보면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평균소득 1180만원)가 25.7%로 가장 높았고 고소득층에 속하는 4분위(5220만원)와 5분위(1억1040만원)의 비중은 각각 22.9%였다. 이밖에 2분위(2690만원)는 14.8%, 3분위(3710만 원)는 13.7%였다. 주택대출자들의 평균소득은 3950만원이다.
이런 내용은 지난해 11월 한국개발연구원(KDI) 김준경 교수가 발표한 ‘가계대출 현황 및 평가’보고서에서 지난 2006년말 기준 계층별 가계대출 비중이 1분위 6.9%, 2분위 11.9%, 3분위 16%, 4분위 24.9%, 5분위 40%로 분석된 것과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올해 신규 주택담보대출의 자금 용도를 보면 올해 1월 당시 주택구입외 자금(생활자금) 비중은 54.3%로 주택구입자금용(45.7%)보다 높았다. 하지만 이후 부동산시장이 달아오르면서 주택구입 목적의 대출 비중이 크게 올라 지난 7월에는 주택구입 용도(62.8%)가 생활자금 용도(37.2%)를 크게 웃돌았다.
안선희 기자 sh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