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 GDP 및 GNI 추이
2분기 5.6% 늘어…21년만에 최고 증가율
2분기 중 실질 국민총소득(GNI)이 21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큰 폭의 오름세로 돌아섰다. 실질 국내총생산(GDP)도 1분기에 견줘 2.6% 늘어 지난해 4분기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분기 국민소득(잠정)’ 자료를 보면, 2분기 실질 국민총소득은 238조9971억원으로 1분기(226조3393억원)보다 5.6% 늘어났다. 지난해 2분기 이후 1년 만에 다시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증가율(전기 대비 기준)은 1988년 1분기(6.2%) 이후 21년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실질 국민총소득은 지난해 3분기(-3.6%)와 4분기(-1.6%)에 이어 올해 1분기(-0.2%)에도 전 분기에 견줘 계속 감소했었다. 특히 2분기 실질 국민총소득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서도 0.5% 늘어났다.
실질 국내총생산 증가폭도 컸다.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은 1분기에 견줘 2.6% 성장해 1분기(0.1%)보다 상승폭을 크게 늘렸다. 2003년 4분기(2.6%) 이후 5년6개월 만의 최대치로, 특히 지난 7월말 한은이 밝힌 2분기 국내총생산 속보치(2.3%)보다 0.3%포인트나 높은 실적이다. 다만,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서는 2.2% 줄어 지난해 4분기(-3.4%)와 올해 1분기(-4.2%)에 이어 3분기 내리 감소세를 이어갔다. 우리 경제 규모가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아직 회복하지 못했음을 뜻한다.
정영택 한은 국민소득팀장은 “속보치 발표 이후에 나온 6월 제조업 및 서비스업 생산과 금융기관 실적자료 등을 추가로 반영하면서 성장률이 상향 조정됐다”며 “실질소득 증가율이 높은 것은 수출가격보다 수입가격 하락률이 높은데다 나라 밖에서 벌어들인 이자 및 배당소득 등이 증가한 결과”라고 말했다. 최우성 기자 morg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