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보고서 “규모 영세하고 경쟁력 취약”
우리나라 경제의 총 부가가치에서 서비스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이며, 생산성도 선진국보다 낮은 것으로 지적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5일 발간한 ‘서비스산업 발전전략과 과제’ 보고서에서 이렇게 지적하고 “내수를 활성화해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해외 요인에 취약한 경제체질을 바꾸려면 서비스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국내 서비스산업이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데도 규모가 영세하고 경쟁력이 취약해 선진국에 비해 경제 기여도가 낮다고 평가했다.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종사자가 총 고용의 26%를 차지할 정도로 저부가가치 업종의 비중이 높고, 이들 업종의 평균 종사자 수가 4인에 불과할 정도로 소규모이며 생산성도 제조업 대비 40%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것이다. 총 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서비스산업 비중은 57%에 불과해 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최하위(OECD 평균 72%)를 기록했다.
보고서는 “내수기반 산업인 서비스산업을 키워 무역의존도가 70%를 넘는 대외의존적 경제구조를 탈피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서비스업은 제조업보다 부가가치가 높고 고용창출 효과가 크다”고 설명했다.
전경련은 서비스 산업 선진화를 위한 5대 전략으로 △규제개선과 경쟁촉진을 통한 투자 유인 △연구개발 투자 등을 통한 생산성 제고 △국내외 수요기반 확대 △고용형태 다양화를 통한 고용흡수 기반 마련 △서비스업의 ‘산업화’를 위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 등을 꼽았다.
김회승 기자 hon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