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본계약 연기” 요청에 산은 “수용불가”
한화쪽 “자금조달 어려워” 인수포기도 시사해
산은쪽 원칙 내세우지만 타협가능성도 점쳐져 한화그룹이 26일 기존 양해각서(MOU)의 계약조건을 바꾸지 않는 한 나흘 앞으로 다가온 산업은행과의 대우조선해양 인수 본계약을 체결하지 않을 것임을 공식화했다. 산은은 조만간 제반 사항을 검토해 입장을 밝히겠다는 태도지만 아직까진 ‘수용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대우조선해양 매각이 안갯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한화, 한화석유화학, 한화건설 등 한화그룹 3개 계열사는 이날 오전 긴급이사회를 열어, ‘매매대금 지급조건 완화’와 ‘확인실사 뒤 본계약 체결 또는 이에 준하는 보완장치’를 전제로 산은과의 본계약을 추진할 것을 결의했다. 한화의 이날 결의는 산은에 보내는 일종의 최후 통첩으로, 그동안 요청해 온 잔금납부기일 연장을 산은이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본계약은 물론 인수자체를 포기할 수 있음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해 한화 고위관계자는 “산은이 우리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어쩔 도리 없이 그만두는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말해 이런 관측에 무게를 실었다. 한화는 또 ‘실사 뒤 본계약’도 주장하고 나섰다. 일정상 오는 29일로 예정된 본계약 체결일까지 실사를 마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실상 본계약 연기를 요구하는 것이다. 한화가 이처럼 ‘배수의 진’을 친 데는 한화 표현대로 세계적 경기침체로 “자금조달에 어려움이 있고, 조선경기의 침체로 대우조선해양의 가치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한화는 금융권 차입 등으로 애초 8조원 가까운 인수자금 마련 계획을 세웠으나, 대부분 무산되고, 현재 조달 가능한 자금은 그룹의 보유 현금 1조원과 시흥군자매립지 매각대금 5천억원에 불과하다. 여기에 최근 신규 수주가 줄고 기존 수주 물량마저 일부 취소되면서 대우조선해양의 잠재적 부실이 생길 우려까지 겹치자, 확인 실사 뒤 3% 이내로 정했던 인수가격 협상 범위를 더 늘려 가격을 깎겠다고 나선 것이다. 공을 넘겨받은 산은은 “원칙은 원칙”이라며 수용하기 어렵다는 태도를 보였다. 산은 관계자는 이날 “한화의 상황이 양해각서 체결 시점보다 악화됐다고 보기 어려워 본계약 일정은 물론 잔금처리와 인수가격 모두 양보의 여지가 없다”며 “계약대로 일정을 맞추지 못하면 한화가 이미 낸 3천억원도 그냥 떼이는 것”이라고 밝혔다.
대우조선해양 매각이 무산 위기를 맞고 있지만, 한화와 산은 양쪽 모두 인수 무산에 따른 부담과 책임이 커 타협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산은은 한화 요구를 받아들일 경우 일게 될 ‘봐주기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겠지만, 재입찰에 들어가더라도 6조원 이상에 입찰할 기업을 찾기 어렵다는 부담을 안고 있다. 한화 또한 뒤늦게 외부환경을 이유로 ‘원칙을 깼다’는 비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인수전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때부터 금융위기의 확산이 예측된 상황이었고, 그동안 여러 우려에도 자금 마련에 문제가 없다고 호언장담해왔다는 점에서다. 이재명 김경락 기자 miso@hani.co.kr
산은쪽 원칙 내세우지만 타협가능성도 점쳐져 한화그룹이 26일 기존 양해각서(MOU)의 계약조건을 바꾸지 않는 한 나흘 앞으로 다가온 산업은행과의 대우조선해양 인수 본계약을 체결하지 않을 것임을 공식화했다. 산은은 조만간 제반 사항을 검토해 입장을 밝히겠다는 태도지만 아직까진 ‘수용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대우조선해양 매각이 안갯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한화, 한화석유화학, 한화건설 등 한화그룹 3개 계열사는 이날 오전 긴급이사회를 열어, ‘매매대금 지급조건 완화’와 ‘확인실사 뒤 본계약 체결 또는 이에 준하는 보완장치’를 전제로 산은과의 본계약을 추진할 것을 결의했다. 한화의 이날 결의는 산은에 보내는 일종의 최후 통첩으로, 그동안 요청해 온 잔금납부기일 연장을 산은이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본계약은 물론 인수자체를 포기할 수 있음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해 한화 고위관계자는 “산은이 우리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어쩔 도리 없이 그만두는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말해 이런 관측에 무게를 실었다. 한화는 또 ‘실사 뒤 본계약’도 주장하고 나섰다. 일정상 오는 29일로 예정된 본계약 체결일까지 실사를 마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실상 본계약 연기를 요구하는 것이다. 한화가 이처럼 ‘배수의 진’을 친 데는 한화 표현대로 세계적 경기침체로 “자금조달에 어려움이 있고, 조선경기의 침체로 대우조선해양의 가치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한화는 금융권 차입 등으로 애초 8조원 가까운 인수자금 마련 계획을 세웠으나, 대부분 무산되고, 현재 조달 가능한 자금은 그룹의 보유 현금 1조원과 시흥군자매립지 매각대금 5천억원에 불과하다. 여기에 최근 신규 수주가 줄고 기존 수주 물량마저 일부 취소되면서 대우조선해양의 잠재적 부실이 생길 우려까지 겹치자, 확인 실사 뒤 3% 이내로 정했던 인수가격 협상 범위를 더 늘려 가격을 깎겠다고 나선 것이다. 공을 넘겨받은 산은은 “원칙은 원칙”이라며 수용하기 어렵다는 태도를 보였다. 산은 관계자는 이날 “한화의 상황이 양해각서 체결 시점보다 악화됐다고 보기 어려워 본계약 일정은 물론 잔금처리와 인수가격 모두 양보의 여지가 없다”며 “계약대로 일정을 맞추지 못하면 한화가 이미 낸 3천억원도 그냥 떼이는 것”이라고 밝혔다.
대우조선해양 매각이 무산 위기를 맞고 있지만, 한화와 산은 양쪽 모두 인수 무산에 따른 부담과 책임이 커 타협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산은은 한화 요구를 받아들일 경우 일게 될 ‘봐주기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겠지만, 재입찰에 들어가더라도 6조원 이상에 입찰할 기업을 찾기 어렵다는 부담을 안고 있다. 한화 또한 뒤늦게 외부환경을 이유로 ‘원칙을 깼다’는 비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인수전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때부터 금융위기의 확산이 예측된 상황이었고, 그동안 여러 우려에도 자금 마련에 문제가 없다고 호언장담해왔다는 점에서다. 이재명 김경락 기자 mis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