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남균(오른쪽)·박영수 교수(왼쪽)가 22일 연세대 신촌캠퍼스 알렌관에서 자체개발한 ‘냉매없는 에어컨’ 시제품의 성능을 시연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제공
연세대팀, 열전모듈로 성공…실외기도 불필요
냉매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실외기도 필요없는 에어컨 시제품(사진)이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됐다. 연세대 박영우(56·의학물리학)·남균(64·고체물리학) 교수팀은 22일 ‘열전모듈’과 자체개발한 ‘그린키트’ 기술을 접목해 냉매없는 에어컨을 제품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새 기술은 전류를 흘리면 한쪽은 차갑고 반대쪽은 뜨거워지는 열전모듈의 성질에, 냉온 부분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응용장치(그린 키드)를 개발해 접목한 것이다.
이날 시연회에서 기존 3평형 에어컨과 시제품에 섭씨 33도의 바람을 주입한 결과, 섭씨 21도에 이르는 시간이 시제품은 3분, 기존 에어컨은 5~6분으로 각각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박영우 교수는 “기존 에이컨보다 초기 냉각 속도가 2배 빠를 뿐 아니라 팬을 본체에 장착할 경우 실외기도 필요없다”며 “에어컨 업계의 숙원이자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냉매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새 기술이 상용화되면 △주요 부품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실외기를 없애 제품 이동성이 높아지며 △겨울철에는 난방기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박 교수는 “처음에는 자동차 에어컨을 겨냥했는데 자동차 생산 라인을 바꿔야 하는 문제 때문에 가정용 에어컨으로 전환했다”며 “주요 부품인 열전모듈 가격이 많이 떨어져 상용화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무냉매 냉각기술’은 열전모듈 방식을 비롯해, 가돌륨 합금 및 수소가스 적용 기술, 물 기화방식 등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기술개발 경쟁이 치열하다. 김회승 기자 hon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