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지난해 공공부문 적자 95조8천억…코로나19 여파 역대 최대

등록 2023-09-20 17:59수정 2023-09-21 02:46

클립아트코리아
클립아트코리아

지난해 공공부문의 적자가 사상 최대치인 약 96조원에 이르렀다. 코로나19로 중앙·지방정부의 지출이 늘고 원자잿값 상승으로 공기업들의 생산 비용도 치솟았기 때문이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공공부문 계정’(잠정치)을 보면, 지난해 공공부문(일반정부+공기업)은 95조8천억원 적자를 냈다. 한은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7년 이래 최대 규모의 적자이다. 전년(-27조3천억원)보다 적자 규모가 68조5천억원 커졌다.

1년 전보다 총수입이 11%(109조1천억원) 늘었으나, 총지출 증가 폭(17.4%·177조6천억원)이 더 크면서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게 됐다. 지난해 공공부문 지출 증가율 역시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였다.

공공부문 적자를 부문별로 나눠보면, 중앙정부 적자가 80조6천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2021년(-52조2천억원)보다 54%나 증가한 규모이며, 1970년부터 한은이 중앙정부 수지를 따로 작성하기 시작한 이래 최대 적자이다. 이인규 한은 지출국민소득팀장은 “지난해에는 조세 수입이 비교적 양호했지만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재정 부담금과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이전지출이 급증하는 바람에 대규모 적자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이 외에 지방정부는 전년(8조2천억원)보다 소폭 감소한 7조6천억원의 흑자를 기록했고, 사회보장기금의 흑자는 37조4천억원에서 33조2천억원으로 줄었다.

지난해에는 공기업도 큰 폭의 적자를 기록했다. 한국전력공사 등 비금융공기업의 지난해 총수입과 총지출은 각각 222조8천억원, 286조7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17.2%, 35.4%씩 증가했다. 이에 따라 2021년 21조8천억원이던 적자가 64조원으로, 1년 사이에 194%(42조2천억원)나 늘어났다. 이인규 팀장은 “원유와 천연가스 등 원자재 수입 가격의 급등에 따라 생산비용(중간소비)이 늘어난 데다 공공요금에 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해 적자 폭이 커진 것”이라고 했다. 반면에 금융공기업은 금리 상승 등으로 지출보다 수입이 더 많이 늘어 2021년 1조원이던 흑자 규모가 지난해 7조9천억원으로 확대됐다.

박순빈 선임기자 sbpar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삼성전자 반도체 성과급이 겨우…모바일은 연봉 44% 주는데 1.

삼성전자 반도체 성과급이 겨우…모바일은 연봉 44% 주는데

“트럼프, 취임 첫날 행정명령 25개 사인할 것” 2.

“트럼프, 취임 첫날 행정명령 25개 사인할 것”

독감 유행에…5개 보험사, 4분기 실손 손실액 4800억 추정 3.

독감 유행에…5개 보험사, 4분기 실손 손실액 4800억 추정

새해에도 펄펄 나는 하이닉스, 날개 못펴는 삼성전자 4.

새해에도 펄펄 나는 하이닉스, 날개 못펴는 삼성전자

금융당국, 업비트 일부 영업정지 처분 통보…“최종 제재안은 아냐” 5.

금융당국, 업비트 일부 영업정지 처분 통보…“최종 제재안은 아냐”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