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결정을 위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한국은행 제공
올 하반기 들어 한국과 미국 간 국채 금리의 등락 흐름이 중·단기물에서는 동조화 현상이 약화한 반면에 장기물에서는 동조화를 유지하고 있다는 한국은행 분석이 나왔다. 만기가 길수록 미 국채 금리가 오르면 우리나라 금리도 상승 압박을 받는다는 것이다.
한은은 11일 내놓은 ‘한-미 금리 동조화 현황과 평가’라는 이슈노트 보고서에서 올해 들어 미국 금리 상승의 영향이 장기물에는 커졌지만 3년 미만 중·단기물 간 동조성은 크게 약화해 만기별 차별화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진단했다.
보고서는 국내 단기물 국고채의 경우 미국 국채 금리의 영향이 지난해 18∼19%에서 올해 들어 10% 수준으로 줄어든 반면에 10년물에 대한 영향은 소폭 감소에 그쳐 여전히 50%를 넘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구체적 사례로, 지난 7월25일부터 8월21일까지 미국 국채 금리가 장단기 구분없이 급등하는 동안에 우리나라의 1년 이하 단기물 국고채 금리는 보합세(3개월물 -0.01%포인트, 1년물 +0.04포인트)를 유지하며 거의 영향이 없었다. 대신 국고채 10년물은 같은 기간 0.29% 포인트 상승폭 가운데 약 56%(0.16%포인트), 3년물의 경우 0.15%포인트 상승폭의 39%(0.06%포인트)가 미 국채 금리 상승의 영향인 것으로 한은은 시산했다.
한은은 한-미 금리 동조화의 경로를 ‘실물경제 연계’, ‘통화정책 기대’, ‘글로벌 유동성 및 위험회피’ 등 크게 세가지로 구분했다. 보고서를 쓴 최강욱 한은 채권시장팀 차장은 “지난해에는 세가지 경로에서 모두 금리를 더욱 동조화시켰지만 올해는 실물경제와 통화정책 기대 경로의 영향력이 감소해 만기별 차별화가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며 “두 나라 간 물가 및 성장, 통화정책 방향의 차이를 반영해 중단기적으로는 금리가 다소 엇갈리는 움직임을 보일 것이지만 장기적 시계에선 수렴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이런 진단과 전망을 바탕으로, 보고서는 “단기적으로는 미국 금리 상승의 영향이 우려할 만큼 크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우리나라 가계와 기업의 대출금리는 주로 1년 이하 단기금리에 연동되고, 회사채와 은행채의 발행 만기 역시 3년 이하 중·단기물 비중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국내 장기금리의 경우 여전히 동조성이 높은 만큼 미 국채 금리의 움직임과 그에 따른 국내 영향을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박순빈 선임기자
sbpar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