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저축은행 기업대출 부실 위험, 부동산·건설업 중심 확산

등록 2023-09-10 16:20수정 2023-09-11 02:45

금융연구원 ‘기업부채 리스크와 여신 건전성 추정’
서울 시내 한 저축은행 앞. 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저축은행 앞. 연합뉴스

최근 저축은행 기업대출 중에 부동산 관련 업종을 중심으로 부실 위험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손실 흡수 능력을 갖추려면 자본 확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금융연구원이 10일 내놓은 ‘기업부채 리스크와 여신 건전성 추정’ 보고서를 보면 최근 5년간 국내 비금융 기업부문의 총부채 가운데 부실기업의 부채 증가율이 전체 기업에 견줘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지언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코스피·코스닥·코넥스 기업에 외부감사법인(외감법인)까지 포함해 약 3만5천개 기업의 회계정보 자료를 이용해 2018년~2022년 부채 리스크(부도확률)를 측정하고 확률이 10%를 초과하면 부실기업으로 분류했다”며 “부실기업 부채가 매우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부동산업, 운수업, 건설업의 부실이 가장 크다”고 진단했다.

분석대상 기업의 총부채는 2018년 1719조원에서 2022년 2719조원으로 연평균 12% 증가했는데 이 기간에 부실기업 부채는 91조원에서 213조원으로 연평균 24%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또 부실기업 부채가 전체 기업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5.3%에서 2022년 7.8%로 증가했다.

2022년 말 현재 업종별 부실기업 부채 비중을 보면, 농림어업·광업을 제외하면 부동산업이 29.3%로 가장 높았고 운수업(8.6%)과 건설업(8.1%) 부실 비중도 전체 평균을 웃돌았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부동산업의 부실기업 증가는 주택경기 부진으로 임대·중개업의 수익성이 떨어지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일부 개발·시행사업의 재무 건전성이 악화한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건설업도 부동산 피에프 부실 우려와 사업 지연에다 아파트 분양 저조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재무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업종별 부실기업 비중과 부도확률을 은행과 저축은행의 대출 구성(대출 포트폴리오)에 적용해 기업대출 부실에 대한 흡수 능력을 업권별로 측정했다. 그 결과 2022년 말 기준 저축은행의 부실대출액은 자기자본 대비 18.8%로, 일반은행(11.8%)보다 훨씬 높았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이는 저축은행의 손실부담 능력이 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것이어서 저축은행의 자본확충 필요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박순빈 선임기자 sbpar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삼성전자 반도체 성과급이 겨우…모바일은 연봉 44% 주는데 1.

삼성전자 반도체 성과급이 겨우…모바일은 연봉 44% 주는데

“트럼프, 취임 첫날 행정명령 25개 사인할 것” 2.

“트럼프, 취임 첫날 행정명령 25개 사인할 것”

독감 유행에…5개 보험사, 4분기 실손 손실액 4800억 추정 3.

독감 유행에…5개 보험사, 4분기 실손 손실액 4800억 추정

새해에도 펄펄 나는 하이닉스, 날개 못펴는 삼성전자 4.

새해에도 펄펄 나는 하이닉스, 날개 못펴는 삼성전자

금융당국, 업비트 일부 영업정지 처분 통보…“최종 제재안은 아냐” 5.

금융당국, 업비트 일부 영업정지 처분 통보…“최종 제재안은 아냐”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