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들의 연구개발(R&D) 투자액 중 절반 가량은 삼성전자 몫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연구개발 투자액 상위 2500개 글로벌 기업을 분석(2021년말 기준)했더니, 삼성전자의 투자액 비중이 한국 기업(53곳) 전체 투자액의 49.1%로 주요국 중 1위 기업 쏠림 현상이 가장 두드러졌다고 24일 밝혔다. 연구개발비가 많은 글로벌 기업 2500곳을 나라별로 나눠 분석한 결과다. 연구개발 투자액 1위 기업 비중은 한국에 이어 영국(21.7%), 프랑스(19.8%), 독일(17.1%), 중국(10.0%), 일본(7.6%), 미국(6.3%) 순이었다.
한국의 경우 삼성전자를 포함한 상위 5개 기업 연구개발 투자액도 전체의 75.5%를 차지해, 미국(23.7%), 중국(22.2%), 일본(26.1%) 등 보다 훨씬 높았다. 한국의 상위 5곳은 삼성전자, 에스케이(SK)하이닉스, 엘지(LG)전자, 현대자동차, 엘지(LG)화학이었다. 국가별로는 미국 기업이 822개로 가장 많았고 중국 기업이 678개로 뒤를 이었다. 한국 기업은 53개(2.1%)로 9번째로 많았다.
2500개 기업의 전체 투자액은 1조2032억달러(약 1546조원)로, 한국 기업 비중은 377억달러(3.1%)로 6위였다. 미국 기업 비중(40.2%)이 가장 높았다. 한국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총액은 2013년 말 대비 1.7배(218억달러→377억달러) 늘었다. 같은 기간 중국은 9.6배(244억달러→2155억달러), 미국은 2.3배(2129억달러→4837억달러) 각각 증가했다.
한국 기업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 투자액 비중은 2021년말 기준 2.1%로 2013년 대비 0.5%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국은 1.2%포인트, 미국과 독일은 0.8%포인트, 일본은 0.7%포인트 각각 증가했다.
김회승 선임기자
honest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