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대기업의 여성 임직원 비중은 24% 수준이며, 평균 급여는 남성의 67% 수준으로 조사됐다.
기업분석기관 한국시엑스오(CXO)연구소는 15개 업종별 매출 상위 10위권 150개 기업의 2021년 사업보고서를 통해 남녀 직원 수와 평균 급여 등을 분석해 7일 발표했다.
이들 기업의 임직원 수는 84만4064명이며, 이 중 여성이 20만2703명으로 24.0%였다. 남성은 64만1361명이다. 1년 전과 비교하면 남성은 9937명, 여성은 3031명 각각 늘었는데, 남녀 비중은 비슷한 수준이었다.
업종별로 여성 고용의 편차가 컸다. 롯데쇼핑·삼성물산 등이 포함된 유통·상사 업종 10개 기업의 여성 고용 비중이 52.9%로 가장 높았다. 이어 금융(49.2%), 식품(43.6%), 섬유(33.6%), 운수(33.2%) 등의 순으로 여성 비중이 높았다. 반면, 철강(4.9%), 자동차(5.8%), 기계(6.1%) 등은 10%를 밑돌았고, 건설(11.4%), 가스(12.9%), 전기(16.9%) 등도 10%대에 그쳤다. 단일 기업 기준으로 여성 임직원이 가장 많은 기업은 삼성전자(2만9228명)였다.
조사 대상 기업의 평균 급여(미등기임원 포함)는 남성 8710만원, 여성 5880만원으로 조사됐다. 여성이 남성의 67.5% 수준이었다. 전년 대비 보수 상승률은 남성이 9.2%, 여성이 8.2%로 나타났다. 15개 업종 중 여성 직원의 평균 급여가 남성을 앞선 곳은 없다. 제약업종의 여성 급여(5860만원)가 남성의 77.1% 수준으로, 격차가 가장 적었다. 반면, 건설업종의 여성 평균 급여(5130만원)가 남성(9500만원)의 절반 수준으로, 가장 격차가 컸다.
김회승 선임기자
honest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