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블프 때 괜히 질렀다, 연말까지 참을걸” 널뛰는 환율, 감 잡기 어렵네

등록 2022-12-05 14:49수정 2022-12-05 16:45

“난 1400원대에 환전했는데…” 미리 환전했다 낭패
일부 여행객, 면세품 취소하고 재결제 행렬
5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지수,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2.9원 내린 1297.0원에 개장했다. 연합뉴스
5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지수,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2.9원 내린 1297.0원에 개장했다. 연합뉴스

“얼마 전 1440원대까지 치솟던 환율이 이젠 자고 일어나면 막 떨어지네요. 당시 언론이 1500원대까지 오를 거란 전망을 하던 터라 서둘러서 환전해놨는데…. 속이 쓰리네요.”

출장이 많아 한국보다 국외에 체류하는 시간이 더 길다는 30대 직장인 조아무개씨는 최근 원-달러 환율 변동 폭을 보며 ‘멘붕’이 왔다고 했다. 고공행진을 하며 1400원대까지 뚫었던 환율이 5일 1200원대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조씨는 “기업이나 투자자만큼 거액은 아니지만, 일반인 입장에선 꽤 손해를 봤다”며 “무엇보다 두 달 사이 이렇게 환율 변동 폭이 클 수 있다는 사실에 놀랐다”고 말했다.

지난 10월 1400원대 중반을 찍었던 환율이 5일 1300원 밑으로 떨어지며 약 4개월 전 수준으로 되돌이표를 그리자, 유학생 자녀를 둔 사람들과 연말 여행을 계획했던 사람들, 블랙프라이데이에 ‘지름신’이 강림했던 사람, 달러 통장을 가진 사람들이 쓴 입맛을 다시고 있다. 이들은 “킹 달러를 외치던 언론의 전망 탓에 손해를 봤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미국에 두 아이를 유학 보낸 50대 직장인 정아무개씨는 요즘 환율 변동 폭을 보면 정신을 차릴 수가 없다고 했다. 정씨는 “두 달 전만 해도 고환율 탓에 허리가 휠 것 같아 두려움에 휩싸였는데, 두 달 사이 환율이 계속 하락해서 놀랐다”며 “그나마 미리 환전한 돈이 크진 않아 손실은 적지만, 당시엔 대량 환전을 해놓아야 할 분위기였다”고 말했다.

연말 여행을 위해 미리 환전해 둔 여행객들도 아쉬움이 역력하다. 고아무개(44)씨는 “당시 여행 관련 커뮤니티에는 ‘환율이 계속 오르니 기회가 있을 때마다 여행에 쓸 돈을 조금씩 환전해 놓아야 한다’는 글이 많았다”며 “1400원대에 3천달러나 환전을 해놨는데, 솔직히 짜증이 난다”고 말했다. 환율이 1400원대 중반을 찍었을 때 가족과 함께 국외여행을 다녀왔다는 김아무개(34)씨는 “현지 결제여서 최고가에 결제를 했다. 몇백만원을 더 내고 여행을 다녀온 셈이라 여행을 좀 늦추면 좋았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여행 준비객들 사이에서는 두 달 전과 달리 국외여행 때 환전해서 현금을 쓰기보다 될 수 있는 한 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환율 손해를 덜 보는 지름길이라는 조언이 쏟아지고 있다.

‘미리 결제해 둔 면세점 물건을 취소하고 재결제했다’는 글도 잇따르고 있다. 한 누리꾼은 “미리 결제해 둔 상품을 적립금 혜택, 페이백, 주중·주말 프로모션 차이까지 꼼꼼히 따져 환율 하락분과 비교해 재결제했고, 10만원 넘게 절약했다”며 “환율이 더 내리면 다시 한 번 재결제할 생각인데, 면세점 직원들도 진상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친절하게 응대해주니 현명한 소비를 하면 된다”고 적었다.

얼마 전 블랙프라이데이에 명품 등을 직구하고 ‘배송’을 기다리는 소비자들도 속이 쓰리긴 매한가지다. 40대 직장인 박아무개씨는 “환율이 세서 고민하다가 그래도 ‘블프’라 별렀던 명품가방을 질렀다”며 “한두 푼짜리가 아니라 연말 지나고 사도 됐을 뻔 했다고 후회 중”이라고 말했다.

달러 통장을 미리 털지 못한 사람들도 환율변동을 주시하고 있다. 조아무개(45)씨는 “1400원대에서 달러 통장을 정리하려다가 언론 보도를 보고 더 오를까 싶어서 갖고 있었는데, 이젠 1200원~1100원대 이야기까지 나오니 타이밍을 놓친 듯 싶다”고 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90년 묵은 ‘상호관세’ 꺼낸 트럼프…‘관세 98% 폐지’ 한국은 안심? 1.

90년 묵은 ‘상호관세’ 꺼낸 트럼프…‘관세 98% 폐지’ 한국은 안심?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2.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인도 사람도 돼지바·죠스바 먹는다…롯데, 인도 신공장 준공 3.

인도 사람도 돼지바·죠스바 먹는다…롯데, 인도 신공장 준공

다양·평등·포용 지우는 빅테크…‘테슬라 인종차별’에 머스크는 몸사려 4.

다양·평등·포용 지우는 빅테크…‘테슬라 인종차별’에 머스크는 몸사려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5.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