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금융기관들에 과도한 자금 확보 경쟁을 자제해달라고 권고했다.
23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업권별 금융회사들과 ‘금융권 자금흐름(역머니무브) 점검·소통 회의’를 열고 “과도한 자금 확보 경쟁은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경제에 부담이 될 수 있는 만큼 업권간·업권내 과당 경쟁을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금융당국의 권고는 급격한 금리 인상과 시장 불확실성 증가로 금융시장 자금흐름이 위험자산에서 안전자산으로 이동하는 ‘역머니무브’ 현상이 심화되자 나온 발언이다. 은행권은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풍부하지만, 제2금융권은 자금조달 애로를 겪는 등 자금조달 여건 차별화가 확대되고 있다. 더군다나 연말 결산마저 앞두고 있어 자금 흐름의 변동성이 더욱 커질 우려가 있다. 금융위는 참가자들이 “과도한 자금 확보 경쟁은 향후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채권시장의 신용스프레드 확대에 영향을 미치는 등 금융시장 불안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데 인식을 모았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시장 자금흐름을 수시로 모니터링하고 시장 상황 변화에 따라 필요한 조처를 즉각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업권별 릴레이 간담회를 개최해 자금흐름 현황과 리스크 요인을 밀착 모니터링하는 한편, 시장 내 불안감을 조성하는 시장 교란 행위는 엄정 조처하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금융당국은 자금 여력이 풍부한 은행권과 대형 금융회사의 책임 있는 역할을 당부했다. 금융당국은 “상대적으로 자금 사정에 여유가 있는 은행권과 대형 금융회사, 법인·기관투자자가 적극적으로 시장 안정 노력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금융지주와 은행권을 중심으로 한국전력공사에 대한 대출, 기업어음(CP)·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전단채 매입, 환매조건부채권(RP) 매수, 일반 머니마켓펀드(MMF) 운영규모 유지 등 시장안정 노력을 다해달라고 재차 당부한 것이다.
이날 간담회 자리에는 한국금융연구원·보험연구원·자본시장연구원 등 연구기관, 은행연합회·생명보험협회·손해보험협회 등 금융협회, 케이비(KB)지주, 신한은행, 삼성생명, 롯데손해보험, 미래에셋증권, 모아저축은행, 현대카드, 농협중앙회 등 업권별 금융회사가 참석했다.
고한솔 기자
so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