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전기자동차 1회 충전(완충 기준) 시 주행거리는 현재 500㎞ 수준이다. 정부가 2030년까지 이를 800㎞로 끌어올리는 배터리 기술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를 내걸었다. 서울~부산(경부고속도로 톨게이트 기준 362km)을 오갈 수 있는 수준이다. 정부는 이를 위한 연구·개발(R&D)에 예산 1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일 서울 서초구 메리어트호텔에서 2차전지 업계 대표, 산업계 관계자들과 함께 ‘산업전략 원탁회의’를 연 자리에서 이런 내용을 포함한 ‘2차전지 산업 혁신 전략’을 내놓았다.
산업부는 배터리 핵심기술 개발을 위해 정부 연구·개발(R&D)비 1조원을 포함해 2030년까지 20조5천억원(정부 1조원, 민간 19조5천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또한 주력 제품인 삼원계(세가지 원소를 양극재 소재로 쓰는) 배터리의 성능을 고도화해 1회 충전 주행거리 800㎞를 달성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를 위해 2024년까지 하이니켈 양극재 기술개발에 196억원, 내년까지 실리콘 음극재 기술개발에 91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주행거리 연장과 함께 차세대 기술인 차량용 전고체(전해질을 고체로 대체한) 전지를 2026년까지 상용화하기로 하고, 이를 위한 기술개발도 아울러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배터리 업계의 국내외 설비투자에 대해 총 5조원 규모의 대출 및 보증을 지원하고, 1조원 규모의 투자펀드 연내 출시 및 세제지원 확대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산업부 집계 결과, 국내 배터리 업계의 투자 규모는 2030년까지 연구·개발 19조5천억원에 시설투자 30조5천억원을 더해 50조원 규모로 잡혀 있다.
정부는 또 민간 부문과 공동으로 2030년까지 배터리 업계 핵심인력 총 1만6천명을 양성하기로 했다. 우선 ‘배터리 아카데미’를 신설해 산업계가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정부는 교육 인프라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역할을 분담해 현장에 필요한 인력을 연간 800명 이상 길러낸다는 방침이다. 이와 별개로 기업들은 국내 9개 대학에 설립한 12개 계약학과를 통해 매년 150명 남짓을, 정부는 학부·석박사·재직자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연간 980여명을 양성하기로 했다. 석박사 지원사업의 경우, 올해부터 지원 학교를 5개교에서 13개교로 늘리고, 산학 공동 연구 프로젝트를 중점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배터리 핵심광물 확보를 위한 민관 협의체 ‘배터리 얼라이언스’도 이날 회의를 통해 출범했다. 얼라이언스에는 배터리 기업, 소재 기업, 정·제련 기업 등 공급망 각 단계 주요 기업들이 전문성을 지닌 공공기관과 함께 참여한다. 무역보험공사, 수출입은행은 앞으로 5년간 3조원 규모의 대출 및 보증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힘을 보탠다. 정부는 얼라이언스의 논의 내용과 업계 수요를 종합 검토해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핵심광물 확보 방안’을 연내 마련하기로 했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