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자금시장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국내 기업대출의 부실 징후가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31일 ‘기업대출 부실징후 및 대응방안’ 보고서를 내어, △기업대출액 급증 △상환능력 악화 △높은 변동금리 대출 비중 △부동산 등 취약업종 쏠림 △비은행 대출 비중 증가 등 5가지를 기업대출의 부실 징후로 꼽았다.
전경련 분석을 보면,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10년간(2009~2019년) 기업대출은 연평균 4.1% 증가한 반면 2019년 말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2년6개월 동안 연평균 증가율은 12.9%로 급증했다. 이에 기업대출 금액은 2019년 말 976조원에서 올 상반기 기준 1321조원으로 345조3천억원(35.4%) 늘었는데, 이는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10년간 증가액(324조4천억원)보다 많은 것이다.
반면 기업들의 부채상환 능력은 취약해졌다고 전경련은 진단했다. 전경련은 국제결제은행(BIS)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을 포함해 미국·독일·일본 등 17개 주요 선진국 비금융 법인의 디에스아르(DSR) 추이를 분석했다. 디에스아르는 기업·개인의 소득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로 높을수록 상환 능력이 취약함을 의미한다. 전경련 분석 결과, 한국을 제외한 16개국의 디에스아르는 2019년 평균 41.1%에서 올해 1분기 40.6%로 0.5%포인트 감소한 반면, 한국은 37.7%에서 39.7%로 2.0%포인트 증가했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상대적으로 국내 기업의 부채상환 능력이 떨어졌다는 의미다.
변동금리와 비은행 대출이 많아진 것도 취약점으로 꼽았다. 기업대출의 72.7%(9월말 잔액 기준)는 금리가 오르면 원리금 상환 부담이 늘어나는 변동금리 대출로 조사됐다. 신규대출 중 변동금리 비중은 2020년 2월 58.8%에서 올해 7월에는 73.0%까지 높아졌다.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비은행 기관의 대출 증가율은 예금은행보다 2배 이상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말 이후 올 상반기까지 은행 기업대출은 연평균 10.9% 증가한 반면 비은행 대출은 27.5% 증가했다. 비은행 기업대출 비중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인 29.7%다.
부동산 등 경기 민감 업종으로의 대출 쏠림 현상도 우려되는 지점이다. 전경련은 올해 상반기 기준 부동산업과 도소매업, 숙박음식업의 대출 집중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대출 집중도는 특정 산업의 국내총생산(GDP) 비중 대비 대출금의 비율이다. 전경련은 “부동산 경기 경착륙과 내수 위축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므로 이들 업종에서의 대출 부실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회승 선임기자
honest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