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한은 제공
국내 제조 대기업들이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감당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기준금리 수준은 평균 연 2.6%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국내 제조 대기업 100개사의 재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9월8∼18일)를 벌인 결과,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기준금리 수준(임계치)은 평균 2.6%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국내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인상될 때마다 대출 금리 및 회사채 금리 상승에 따른 금융비용이 평균 2.0%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임계치를 물었더니 연 3.0%가 27.0%로 가장 많았다. 이어 금리 수준별로 보면, 2.0%(25.0%), 2.25%(12.0%), 2.5%(13.0%), 2.75%(9.0%) 등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들은 기준금리가 올 연말과 내년에 각각 평균 3.0%, 3.4%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전경련은 “응답 기업의 37%가 현재 기준금리 수준(연 2.5%)에서도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전경련은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추가 인상(연 2.75%)될 경우 제조 대기업의 50%가 영업이익보다 이자비용이 높은 상황이 되고, 0.5%포인트 오를 경우에는 이 비중이 59.0%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응답 기업들은 자금 사정이 나빠진 이유로 대출금리 인상 등 금리 영향(47.0%)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원자재 가격 상승(23.0%), 환율 상승(17.0%) 등의 순이었다. 자금 사정과 달리 응답 기업 37.0%는 올 연말까지 자금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감소 전망(9.0%)의 4배가 넘었다. 자금 수요가 예상되는 부문은 원자재 부품 매입이 36.7%로 가장 많았다.
김회승 선임기자
honest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