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1일부터 네이버 지도 앱에서 철도 승차권 예매가 가능해진다.
국토부와 한국철도공사는 28일 생활밀착형 철도서비스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우선 7월1일부터 네이버 지도앱에서 목적지까지 가는 최적 경로를 검색한 뒤 바로 철도 승차권을 예매할 수 있게 된다. 이전까지는 지도앱에서 최적경로 검색 뒤 코레일 모바일앱인 ‘코레일톡’이나 누리집에 따로 접속해 예매해야 했다.
30일부터는 코레일톡에서 열차 지연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열차를 이용 중인 고객은 코레일톡에서 목적지까지 도착 예정시각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철도역에서도 맞이방에 설치된 열차 시각 안내정보 디스플레이를 통해 열차 시간표와 지연시간 정보가 함께 제공될 예정이다.
여름 휴가 기간인 7월15일부터 8월21일까지 철도역에서 숙소로 짐 배송 서비스가 시범운영될 계획이기도 하다. 시범운영이 이뤄지는 철도역은 부산역, 강릉역, 여수엑스포역, 안동역 등 4곳이다. 철도역 안에 마련된 ‘짐 배송 서비스센터’에 짐을 맡기면, 당일 저녁까지 숙소로 짐을 배송해준다. 여행객은 열차역 도착 뒤 무거운 짐에서 해방되어 여행을 다닌 뒤 숙소에서 짐을 찾으면 된다.
접수, 보관, 이동, 절차, 요금 등 짐 배송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향후 국토부·철도공사와 철도역 소관 지방자치단체 간 협의를 거쳐 누리집에 안내될 예정이다. 국토부는 “시범운영 성과에 따라 다른 철도역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