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중국·일본과의 교역에서 수입 의존도가 높고 수입액이 큰 핵심 수입품목의 75%가 중국산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30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최남석 교수(전북대 무역학과)에게 의뢰해 분석한 보고서를 보면, ‘관리가 필요한 핵심 수입품목’ 228개 중 중국산 품목이 172개로 75.5%를 차지했다. 일본산 품목은 32개(14.0%), 미국산 품목은 24개(10.5%)로 나타났다. 미국·중국·일본 세 나라를 대상으로 수입 의존도가 90% 이상이고, 수입금액 규모 상위 30%에 해당하는 228개 품목을 ‘핵심 수입품목’으로 보고서는 분류했다.
중국산 핵심 수입품목은 전기제품, 기계 및 컴퓨터, 철강, 유·무기 화합물, 유리, 의료용품, 비철금속 등 산업용 원자재 등이다. 강철 제조 필수 소재인 망간, 전기차 배터리의 음극재에 활용되는 필수 원료인 흑연, 자동차 경량화의 주요 소재인 마그네슘 등이 대표적인 중국산 수입 품목이다. 일본산 핵심 수입 품목은 전기제품, 기계 및 컴퓨터, 플라스틱, 전기제품 유기화합물 등이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소재인 폴리이미드 필름, 반도체 웨이퍼를 가공하는 기계 또는 분사기 등이 관리가 필요한 일본산 품목이다. 미국산 핵심 수입 품목은 석유·석탄, 항공기, 전기제품, 과일, 기계 및 컴퓨터 등이다.
보고서는 기업간 거래가 많고 글로벌 공급망 안정성이 취약한 것으로 판단되는 133개 품목을 지목하고, 이들 품목에 대해서는 조기경보 관리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들 133개 품목 중 산화 텅스텐(반도체 소재), 염화칼슘, 비디오 카드, 태양광 모듈, 농약 원제 등 중국산 품목이 127개로 95.4%를 차지했다.
최남석 교수는 “핵심 수입품목에 대한 수급 관리를 못하면 언제든지 요소수 대란과 같은 공급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며 “228개 품목에 대해서는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고 수입 다변화 등의 조처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회승 선임기자
honest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