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전쟁은 한국 수출에 적신호를 켜게 한다. 부산항 부두에 수출입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상경 계열 교수들이 한국 경제의 3대 리스크(위험요인)로 공급망 교란, 가계 대출, 중국 경제 경착륙을 꼽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수도권 대학 상경 계열 교수 150명을 대상으로 새 정부가 유념해야 할 경제 리스크를 설문조사(3월4일∼3월27일)한 결과, 이런 위험 요인의 발생 확률과 위험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발생 확률과 위험성을 곱해 분석했는데, 이 3가지 리스크의 강도가 모두 9점(10점 만점)으로 측정됐다.
응답자들은 미-중 갈등 격화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글로벌 공급망 교란이 장기화할 가능성과 그 위험성이 가장 높다고 진단했다. 대응책으로는 핵심 원자재에 대한 수입선 다변화(42.2%), 에너지 이용 효율성 제고를 위한 산업구조 개선(16.5%), 해외자원개발 확대(15.3%) 등을 제시했다.
가계 대출 부실화로 인한 금융발 경제 위기에 대한 우려도 컸다. 해결 방안으로는 기준금리 인상 기조 유지(28.5%), 고용 확대를 통한 가계의 금융 방어력 강화(17.1%) 등을 꼽았다.
부동산 버블과 과다한 기업부채 붕괴, 코로나19 봉쇄 등으로 중국 경제가 경착륙할 가능성이 세번째 리스크로 꼽혔다. 대응 방안으로는 수출 다변화 지원 정책(47.0%)이 가장 많이 꼽혔고, 안정적 금융시스템 방어력 구축(29.5%), 대중 의존도가 높은 산업에 대한 지원 강화(18.6%)등이 제시됐다.
이밖에 과거 오일쇼크와 같은 스태그플레이션 발생과 온실가스 감축 부담으로 인한 제조업 위축 등도 강도 6점 수준의 리스크로 꼽혔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새 정부는 대내외 불확실성이 고조됨에 따라 복합경제위기 상황 속에서 출범하게 됐다. 정책적 역량이 제한돼 있으므로 공급망 교란 심화 등 발생 가능성이 크고 우리 경제에 미치는 파급 영향이 큰 대내외 리스크부터 우선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회승 선임기자
honest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