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생산성본부, 기업 300곳 설문조사
10곳 중 7곳 ESG “중요하다” 응답과 대비
10곳 중 7곳 ESG “중요하다” 응답과 대비
국내 기업 열 곳 중 일곱은 환경·사회·지배구조를 중시하는 이에스지(ESG) 경영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역시 열곳 중 일곱 꼴로 자사의 이에스지 경영 수준을 ‘보통 이하’라고 평가해 이에스지 경영이 아직 초보단계인 것으로 드러났다.
대한상의는 한국생산성본부와 공동으로 국내 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이에스지 확산·정착을 위한 기업 설문조사’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응답 기업의 70%가 이에스지에 대해 “중요하다”(매우 중요 27.7%·다소 중요 42.3%)고 응답했다. “보통”이라는 응답은 22.0%,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는 5.7%, “전혀 중요하지 않다”는 2.3%였다. 이에스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경영성과에 긍정적 효과 발생”(42.9%), “소비자 인식 및 소비 트렌드 변화”(41.9%) 등이 꼽혔다.
하지만 자사의 이에스지 경영 수준이 “높다”는 응답은 29.0%(매우 높다 6.0%, 다소 높다 23.0%)에 그쳤다. 반면 “보통이다”는 답변은 40.3%, “낮다”는 30.7%(조금 낮다 19.0%, 매우 낮다 11.7%)로 보통 이하가 71%에 달했다. 상의는 기업들의 ESG 경영 수준은 5점 척도 기준 2.9점으로 보통(3점) 이하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에스지 전담 조직·인력을 갖춘 기업도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 대상 기업 중 15.7%만 이에스지 위원회를 두고 있었고, 이에스지 총괄 임원을 별도로 둔 기업은 12.7%에 그쳤다.
기업들은 이에스지 중 가장 중요한 분야로 환경(E)을 꼽았다. 응답 기업의 60.0%가 환경, 23.3%가 사회(S), 16.7%가 지배구조(G)가 가장 중요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기업 중 절반이 넘는 50.4%가 공급망에서 이에스지 리스크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럽연합(EU)이 추진 중인 공급망 실사 의무화에 대한 준비를 하는 기업은 21.0%에 불과했다. 향후 이에스지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로는 응답 기업의 37.0%가 ‘친환경 사업 분류체계’(그린 택소노미)를 꼽았고 ‘자원순환’(28.3%), ‘이에스지 정보공시 의무화’(13.0%), ‘인권보호 및 다양성’(9.0%), ‘생물다양성’(6.7%), ‘공급망 실사’(6.0%)가 뒤를 이었다.
윤철민 대한상의 이에스지 경영 팀장은 “국내 기업의 이에스지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커지고 있지만, 아직 상당수 기업은 이에스지 경영을 실천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대기업에는 이에스지 평가지표 해석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중견·중소기업에 대해서는 내부 전문인력 양성을 지원하는 등 차별화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국내 기업 300개사(대기업 102개사, 중견기업 117개사, 중소기업 81개사)를 대상으로 지난 9월 모바일을 통해 실시됐다.
곽정수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선임기자 jskw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