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코로나19 뒤 국내 대기업 고용의 양과 질 모두 하락

등록 2021-11-23 10:38수정 2021-11-23 19:49

리더스인덱스, 500대 기업 고용 실태 분석
1만3천명 감소…정규직 1.5% 줄고, 비정규직 7.4% 늘어
서울 지역 한 대학의 취업정보센터. <연합뉴스>
서울 지역 한 대학의 취업정보센터. <연합뉴스>

코로나19 사태 뒤 국내 대기업들에서 고용의 양과 질 모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국내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 중 분기보고서를 제출하고 비교 가능한 313개 업체의 고용현황을 분석해 23일 내놓은 결과를 보면, 코로나 사태 이전인 2019년 9월말 125만2652명에서 2년 뒤인 올해 9월말 123만9822명으로 1.02% 감소했다.

고용 형태별로는 ‘기간의 정함이 없는’ 정규직 고용 인원은 1.54%(1만8199명) 줄었고, 기간제 근로자는 7.36%(5369명)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 쪽 감소 폭이 컸다. 고용 감소 인원 1만2830명 중 남성이 4266명(33%), 여성은 8564명(67%)이었다. 올해 9월말 고용 인원 비율은 남성 74%, 여성 26%인데 반해 감소율은 남성 0.5%, 여성 2.5%로 여성 쪽이 5배로 높았다.

업종별로는 상사(-25.1%), 유통(-10.4%), 통신(-4.8%)에서 많이 줄었다. 증가한 업종은 제약바이오(4.1%), 증권사(3.5%), 정보기술(IT)전기전자(3.4%), 공기업(3.0%) 순이었다.

기업별 고용 증가율을 보면 에스케이(SK)이노베이션이 37.5%(764명)로 가장 높았다. 이어 네이버 24.7%(885명), 엔씨소프트 23.7%(876명), 카카오 14.9%(426명)로 나타났다.

고용 인원 수 증가를 보면, 삼성전자 8606명, 현대자동차 2018명, 에스케이하이닉스 1550명, 코웨이 1488명, 롯데케미칼 1309명, 엘지(LG)이노텍 1288명 순이었다. 반면, 롯데쇼핑은 2년 전에 견줘 5079명이나 줄여 고용 감소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씨제이 씨지브이(CJ CGV)(-3722명), 지에스(GS)리테일(-1826명), 엘지디스플레이(-1619명), 케이티(-1462명), 대한항공(-1290명), 지에스건설(-1218명), 이마트(-1142명) 순으로 고용 인원이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사상 최대 이자수익을 거두고 있는 은행권에서도 고용 숫자가 대폭 줄었다. 우리은행 -829명. 하나은행 -729명, 신한은행 -535명, 국민은행 -501명이었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마지막 ‘줍줍’…세종 무순위 아파트 3가구 120만명 몰렸다 1.

마지막 ‘줍줍’…세종 무순위 아파트 3가구 120만명 몰렸다

삼성 반도체 1분기 ‘적자전환’ 전망…연간 영업익 ‘반토막’ 가능성 2.

삼성 반도체 1분기 ‘적자전환’ 전망…연간 영업익 ‘반토막’ 가능성

IMF의 경고…정치 불안 길어지면 경제 성장 발목 3.

IMF의 경고…정치 불안 길어지면 경제 성장 발목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4.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슬금슬금 엔화 강세…20개월 만에 100엔당 950원 넘어 5.

슬금슬금 엔화 강세…20개월 만에 100엔당 950원 넘어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