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비중 약 40%···대·중소기업 두 배
정부가 에너지 공공기관의 인프라(기반시설)를 활용해 중견기업의 탄소 중립 경영을 지원하고, 에너지 분야 중견기업의 역량을 키우기로 했다.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FEMS) 설치 비용 지원을 현행 40%에서 내년에 50%로 높이고, 사옥 내 전기차 급속 충전소 설치를 지원하는 내용이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3일 서울 더존을지타워에서 강호갑 중견기업연합회장, 중견기업 최고경영자(CEO), 에너지 공공기관장(에너지공단, 에너지기술평가원)과 함께 ‘중견기업 탄소 중립 경영 확산 간담회’를 열어 탄소 중립 및 환경·사회·지배구조(ESG)에 대한 중견기업의 참여 분위기 조성과 함께 정부·공공기관의 적극적인 지원 뜻을 밝혔다. 중견기업은 중소기업기본법상 중소기업의 범위를 벗어나고,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에 소속되지 않은 기업을 말한다.
산업부는 에너지 연구·개발(R&D)에 중견기업 참여를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해 2019년 기준 6.6% 수준인 중견기업 참여율을 2025년 10%까지 늘리기로 했다. 이와 함께 공기업-중견기업 수요연계형 연구·개발 추진, 중견기업 재직자 석·박사 과정 신설(에너지 중견기업 계약학과) 등 에너지 중견기업의 역량을 높이는 방안도 추진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중견기업의 경우 제조업 비중이 타 기업군에 견줘 월등히 높고 수출 기업이 증가하고 있어 탄소 중립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크기 때문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중견기업 중 제조업 비중은 2019년 기준 38.5%로, 중소기업(20.1%)이나 대기업(20.7%) 쪽의 두배에 가까울 정도로 높다. 수출 중견기업 수는 2017년 1650개, 2018년 1941개, 2019년 2032개사로 늘었다.
정부는 수출 중견기업의 유동성 지원을 위한 무역보험공사의 수출채권 조기 현금화 보증 한도 상향 조정(250만달러→500만달러), 100대 ‘등대기업’ 육성, 국가핵심전략사업 특별법 제정 등 중견기업의 신시장·신사업 진출과 핵심 산업생태계 육성도 적극 뒷받침하기로 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기업 수로는 국내 전체의 0.7%(5007개)인 중견기업이 고용에서 14.3%, 매출에선 전체의 15.7%를 차지하고 있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
![중견기업연합회 누리집 갈무리 중견기업연합회 누리집 갈무리](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640/375/imgdb/original/2021/0903/20210903501264.jpg)
중견기업연합회 누리집 갈무리
![](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360/imgdb/original/2021/0812/1416287446406314.png)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