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역 한 아파트 단지의 정전 사고 모습. <한겨레> 자료 사진
폭염에 따른 냉방기기 사용 급증으로 크고 작은 정전사고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전기안전공사 조사 결과, 지어진 지 오래된 공동주택에서 일어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전기안전공사가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정전사고 긴급 복구 지원활동을 벌인 결과를 보면, 신고 접수 처리된 아파트 정전사고 842건 중 준공된 지 20년 이상 된 아파트에서 일어난 사고가 42%(353건)에 이르렀다. 세대수별로 나눈 통계에서 500세대 미만 아파트 정전사고 비중이 56%(471건)로 높았다. 준공된 지 오래된 중소 규모 단지 아파트의 경우 가설 당시 가구당 전기 사용량 기준을 대부분 3kW로 설계해 변압기 과부하 사고 발생률이 그만큼 높은 까닭이라고 전기안전공사는 풀이했다.
기기별 사고 유형은 저압 차단기 고장으로 인한 사고가 20%로 가장 많았고, 변압기와 특고압 기기가 각각 18%, 13%를 차지했다. 월별·계절별로는 7월~9월에 일어나는 정전사고가 전체의 47%를 차지했다.
아파트 정전사고를 미리 막기 위해선 아파트 안전관리자가 단지 내 가동 중인 변압기, 차단기 용량을 정확히 파악하고, 전기사용량이 변압기 적정 용량을 넘어설 경우에 대비해 즉시 교체 가능한 예비 제품을 마련해둬야 한다고 전기안전공사는 당부했다. 또 여름철 정전사고가 잦은 오후 6시부터 밤 10시까지는 변압기 상태에 대한 수시 점검과 집중적인 감시 활동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비상용 발전기에 대한 사전 점검으로 정전사고 때 즉시 가동할 수 있게 관리하는 일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전기안전공사 임종민 안전관리처장은 “15년 이상 오래된 전기설비는 안전전문 기관의 정밀 진단과 점검을 통해 용량 부족과 정전사고 위험 요인을 미리 파악하고, 이상 있는 설비는 제때 교체해주는 게 사고를 막는 최선의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전기안전공사는 공공·민간 비상용 발전기 가동 지원과 함께 발전소 등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사용전·정기 검사, 준공 25년 이상 노후 아파트 1100곳 남짓에 대한 수전실 특별 안전 점검을 벌일 계획이라고 이날 밝혔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