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업계가 상품을 도보로 배달하는 서비스를 시작한다.
지에스(GS)리테일은 편의점 지에스25에서 고객이 주문한 상품을 도보로 배달하는 사업인 ‘우리동네딜리버리’(우딜)를 시범 운영한다고 3일 밝혔다. 오토바이 등 운송기기나 관련 면허가 없는 일반인도 누구나 배달원으로 참여할 수 있다.
고객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요기요’에서 지에스25 상품을 주문하면 배달원인 ‘우친’(우리동네딜리버리 친구)이 우딜 모바일 앱을 통해 주문 콜을 잡아 고객에게 도보로 배달한다. 우친은 배달 1건당 2800원에서 3200원을 지에스리테일로부터 받는다. 도보 배달인 점을 고려해 배달 가능 거리는 해당 지에스25로부터 1.5km 이내로, 배달 상품의 중량은 5kg까지로 한정된다.
우딜 서비스는 3일부터 서울 강남구 소재 3개 지에스25 지점에서 시범 운영되고 17일부터는 서울 전 지역의 지에스25로 확대된다. 이달 말부터는 전국 지에스25와 일부 지에스더프레시(지에스슈퍼마켓)로 서비스가 확대된다. 지에스리테일은 전국 1만5000여개 오프라인 매장을 활용한 자체 배달 사업을 통해 운영 비용을 절감하겠다는 계획이다.
편의점 씨유(CU)를 운영하는 비지에프(BGF)리테일도 도보 배달 전문업체인 엠지플레잉과 업무협약을 맺고 이달 중 서울 지역 500여개 점포에서 도보 배달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서울에서 도보 배달을 시범 운영한 뒤 전국으로 확대해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요기요 앱을 통해 씨유 상품 주문이 접수되면 배달원이 도보로 배달하는 방식이다. 배달 가능 거리는 1㎞ 내외로 배달료는 기존 오토바이 배달과 같은 3천원 수준이다.
전진혁 지에스25 근거리배달혁신 티에프(TF)팀장은 “주문 여러 건을 한꺼번에 배달하는 기존 오토바이 배달과 달리 우딜은 한 건씩 배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배달 시간이 짧아질 것”이라며 “도보 배달이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누구나 부가 수입을 창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윤주 기자 k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