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쇼핑·소비자

식료품 지출 절반 감소, 교육비 비중도 감소세 전환

등록 2019-11-17 12:38수정 2019-11-17 13:00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인구 변화에 따른 소비트렌드 변화’ 보고서
식료품 지출 1990년 26.6%→2018년 14% 급감
교육비 지출 1990년 8.2%→2009년 13.8%→2018년 7.2%
교통비 비중은 증가, 통신비 비중은 증가 후 감소세
의료비 부담 늘고, 의류 소비는 감소
자료: 하나금융경영연구소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초저출산과 고령화, 그리고 만혼·비혼주의 확산으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가 가구의 소비 트렌드에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과거 가구 소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식료품 지출이 30년새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비 비중이 최근 감소세로 전환한 것은 1인 가구 증가와 출산율 감소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7일 이런 내용의 ‘국내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소비 트렌드 변화’ 보고서를 내놓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 식료품 구입 비용(비주류 음료 포함)은 전체 가구 소비지출에서 26.6%를 차지해 가장 비중이 높은 항목이었으나, 2018년에는 14.0%로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특히 20~30대 가구주의 감소폭(27.3%→10.5%)이 가장 컸다.

가구의 교육비 부담은 사교육비의 증가로 1990년 8.2%에서 2009년 13.8%까지 상승했으나, 출산율과 평균 가구원수의 꾸준한 감소로 2018년 그 비중이 7.2%로 내려왔다. 앞으로도 만혼·비혼과 출산율 감소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가구주 연령이 20~30대인 가구에서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계속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소는 내다봤다.

고령인구 증가로 60대 이상의 의료비 부담은 늘고, 의류 소비는 감소했다. 보건 관련 지출 비중은 1990년 6.3%에서 2018년 7.3%로 증가했으며, 특히 60대 이상은 7.1%에서 11.3%로 급증했다. 의류 관련 지출 비중은 1990년 9.8%에서 2018년 6.1%로 감소했다. 특히 50대(10.3%→6.2%)와 60대(10.2%→5.6%) 가구주 가구의 의류 소비 감소폭이 컸다.

자동차 구입비와 연료비를 포함한 교통비는 1990년 전체 소비지출에서 7.9%를 차지했으나, 2018년 13.3%로 증가했다. 이는 식생활과 주거 비용을 제외한 항목 중 가장 높은 비중이다.

통신비는 1990년 전체 소비지출에서 2.2%를 차지했으나, 2003년 7.3%로 정점을 찍은 뒤 완만한 감소세로 접어들어 2018년에는 5.3%를 나타냈다. 40대 가구주 가구가 1990년 1.9%에서 2018년 5.1%, 50대 가구주 가구가 2.1%에서 5.9%로 증가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국내 인구 관련 주요 현상. 자료: 하나금융경영연구소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한편 소비지출 변화 외에도 가구의 월 소득 수준도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주 종사자별 월평균 경상소득 변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 1990년에는 자영업자 가구와 근로자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각각 89만2천원, 90만2천으로 비슷했으나, 2019년 2분기에는 각각 390만원, 535만원으로 그 격차가 월 145만원까지 벌어졌다. 월 소비지출도 과거에는 자영업자 가구가 근로자 가구보다 소비지출 규모가 컸으나, 2000년 이후 역전됐고, 2018년에는 각각 229만원, 283만원으로 그 격차가 벌어졌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1.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금값 급등에 수급 차질…조폐공사, 골드바 판매 중단 2.

금값 급등에 수급 차질…조폐공사, 골드바 판매 중단

‘3조원 비과세 배당’ 우리금융 주가 급등…감액 배당이 뭐죠? 3.

‘3조원 비과세 배당’ 우리금융 주가 급등…감액 배당이 뭐죠?

3월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출범…주식거래 어떻게 운영되나 4.

3월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출범…주식거래 어떻게 운영되나

‘트럼프 관세’ 다음 타깃은 자동차·반도체…수출기업 비상 5.

‘트럼프 관세’ 다음 타깃은 자동차·반도체…수출기업 비상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