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당분간 2% 안팎의 물가상승률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시 뛰기 시작한 계란값과 도시가스 등 공공요금 탓이다. 대중교통요금이나 상하수도 등 지방공공요금 인상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7일 정부는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이 주재하는 ‘물가관계차관회의 겸 범정부 비상경제대응 테스크포스(TF)’를 열어 이같은 물가 상황을 점검하고 “사재기·편승인상 등 시장질서 교란행위를 억제하고 지방공공요금 인상요인을 철저히 모니터링 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3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2.2% 오르며 4년9개월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0.6%~1.5% 사이였던 전년 대비 물가상승률은 올해들어 2%대를 맴돌고 있다. 기준 시점인 지난해 초의 저유가로 인한 낮은 물가 등이 맞물린 영향이 있지만, 계란을 비롯한 농축수산물 가격 인상도 물가상승을 이끌었다.
조류인플루엔자 영향으로 지난 1월 전년보다 62%까지 올랐던 계란 값은, 3월 들어서도 42% 오르는 등 예년 가격을 회복할 기미를 보이고 있지 않다. 3월 중순 이후 계란 값은 오히려 다시 오르고 있다. 전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산란닭 수가 살처분으로 줄어든데다 미국에서도 조류독감이 발생해 계란 수입이 중단됐는데 새학기 급식 등 수요가 늘고있다”며 “계란 값이 평년 수준을 회복하려면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밝힌 바 있다.
공공요금 인상도 불안하다. 지난달 도시가스 요금은 한해 전보다 3.9% 올랐다. 정부는 특히 대중교통과 상·하수도 등 지방공공요금에 대해 “현재는 안정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낮은 원가 보상률, 시설 노후화와 국제유가 상승으로 요금 인상 압력이 존재한다”고 보고, “인상요인을 최대한 흡수하고 불가피한 인상 때는 인상시기를 분산하거나 인상폭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방준호 기자
whorun@hani.co.kr